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재빠른글라이드
재빠른글라이드21.01.13

한강은 왜 꽁꽁얼지 안는건가요?

며칠전 한파때문에 날씨가 매우 추웠습니다

뉴스에서 한강이 얼었다고 공식적으로 보도

되었는데 유튜x 등을 보니 예전에는 한강이

얼면 썰매도타고 얼음위로 걸어다니던데

요즘에 보는 한강이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왜 최근에는 예전처럼 얼지않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디더지 님 안녕하세요

    한강이 얼지 않는 이유가

    정확한 이유는 아니지만 지구 온난화 이상기후로 인한

    이산화탄소가 많아서 꽃샘추위가 장시간 지속되지 않아서

    밤에는 많이 춥지만 낮에는 햇빛으로 인하여 녹아 버리 기 때문이

    지 않을까 추측하고요 그리고 한강물이

    아마 산업화에 따른 한강 생태계가 변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디더지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좋은하루 되세요


  • 아마 혼합물의 어는점 변화가 관련이 있을 듯 싶네요! 과학책에서 정제수(깨끗한 물)은 어는점이 0도 이지만 소금물이나 설탕물의 어는점은 마이너스로 내려간다는 내용을 보신 적 있나요? 이와 같은 원리로 예전보다 조금 더 오염된 한강 물이 어는점이 낮아져 전처럼 꽁꽁 얼지는 않는 것 같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 한강이 얼지않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폭발적인 교통량 증가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엘니뇨 현상으로 인하여 물의 어는점이 낮아져 한강의 결빙이 낮아 졌기때문입니다. 또 한강개발사업으로 인하여 강의 수심이 깊어지고 물의 흐름이 빨라져 결과적으로 물의 어는점이 낮아져 결빙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강도 꽁꽁 얼 수 있습니다.

    서울 기준으로 온도가 영하 7도~8도 정도로 내려가면 한강 가장자리부터 얼기 시작합니다.

    이후 영하 10도 아래의 강추위가 지속되면 정말 한강이 꽁꽁 얼기 시작하는데요.

    70년대 80년대에는 한강이 진짜 얼어서

    썰매도 타고 스케이트도 탔다고 합니다.

    60년대 70년대에는 한강이 지금처럼 정비되기 전이라

    수량도 적고 중간중간 섬도 있어서 꽁꽁 언 날에는 한강다리가 아닌 한강 얼음을 통해 강을 건너기도 했습니다.

    현재도 영하 10도 이하의 강추위가 한달간 지속된다면 .. 한강도 꽁꽁 업니다.

    다만 얼음이 두껍게 형성되는것일뿐

    얼음 아래로는 강물이 다니기 때문에

    강 중심부로 갈 수록 얼음이 약해져 위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