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3.03.18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출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출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바닷물은 순환하므로 돌고 돌아 자구 전역에

해악을 끼칠텐데요.

태평양으로 오염수가 퍼지면 희석되어

위험도가 떨어지기라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 핵발전소에서 발생한 오염수 문제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로 인해 일본 정부는 해외로 오염수 방출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는 다른 나라와 국제적인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바다는 indeed 일정한 순환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오염수는 희석될 수 있지만, 오염된 물은 태평양을 통해 계속해서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수의 이동이 계속되면, 그 농도는 물론 위험성도 점점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오염된 물은 생물체나 식물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바다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염된 물이 어디로 퍼지던지 간에,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여겨져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후쿠시마 핵발전소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최대한 많이 처리하고, 방출되는 물의 농도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해결책으로는 핵연료의 안전한 보관 및 처분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8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평양으로 오염수가 퍼져서 희석될 경우 오염도가 떨어지긴 하지만, 여전히 일정 수준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는 주로 높은 농도의 방사성 핵종 중에서 세슘, 수소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바다에서 바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바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오랫동안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해류 등에 의해 퍼져 다른 지역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염수 방출이 일어날 경우 적극적인 대응과 처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바다에서 오염수가 농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주변 지역의 해산물 등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생태계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국, 오염수 방출을 막기 위해 원인을 제거하거나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 핵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오염수는 일부 정제 처리를 거친 후, 바다로 방류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주변 해역에는 오염물질이 배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다는 일종의 생태계이며, 바다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구 전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다는 대기와 달리 빠르게 혼합되기 때문에 태평양으로 오염물질이 퍼지면 상대적으로 희석되어 위험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영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오염물질이 바다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는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염물질은 해양생물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염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화학물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후쿠시마 핵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바다로 방류되는 경우에도, 이로 인한 환경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처와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출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바다의 수질은 일정 부분 희석될 수 있지만, 장기간 노출될 경우 여전히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높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수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태평양으로 퍼지더라도 일부 오염수는 섞일 것입니다. 그러나 오염수의 양과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희석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류 및 기상 조건에 따라 오염수의 이동 경로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의 희석에 따른 위험도 감소 여부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단순하게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먼저, 오염수의 희석 정도와 오염물질의 성질에 따라 희석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오염수가 희석되어도 오염물질이 바닷물과 섞여 확산됨으로써 생태계나 수산물 등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 문제는 단순한 희석 문제가 아니라 생태계와 인간 건강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매우 복잡하고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위험도는 다소 떨어지겠지만 방사능 오염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이는 잘못되면 해양 생태게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주위 국가들과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에서 오염수를 방류한다면 어떤 상태로든 영향을 받게 되겠지요.


    그러나 물리적인 조건으로 본다면 오염수를 방류한 해수의 영향은 사실상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겁니다.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의 방사능 유출 경로를 보면 편서풍과 북태평양 해류가 이 방사능을 몰고


    동진을 하여 북미의 서안에 접근하면서 적도로 돌아 남태평양의 해류와 조우하면서 다시 적도를 따라 서진을


    하였으며 그 오염수가 포함된 해류는 서서히 중화되면서 인도양과 합친후 다음 갈라지면서 다시 북상하고 그것이


    구로시오 해류를 따라서 일부가 우리나라의 울릉도 근해를 지나 홋카이도 사이로 빠져나가 다시 한류와 합쳐져 북태평양 해류에 휩쓸린 것입니다.


    ​이렇게 순환하는 주기가 6~7년이 경과된 것으로써 그 오염 해수가 우리나라에 접근을 할 때는 이미 회석 되어

    위험 농도를 벗어나서 후쿠시마의 지리적 조건에 부수된 상황이므로 만일 오염수를 방생한다면 먼저의 사항과 다르지 않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