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갑자기 운무가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갑자기 어느 구간에서는 운무가 발생하여 시야가 안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그래서 약간 위험한데 운무는 무엇때문에 생기는것인가요? 생기는 원리가 따로 있나요? 그 이유가 갑자기 궁금해졌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안개와 구름... 둘다 수증기가 응결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안개도 구름과 똑같답니다.

    하지만 안개라 부르는 이유는, 단지 땅에 깔려 있기 때문입니다. 안개는 수증기가 많은 곳에서 잘 생깁니다.

    ​예를 들어 강이나 호수, 댐같은 곳을... 역전층이라고 있는데, 기온 역전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게 정상인데(높은 산으로 갈수록 추워지죠)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안개는....상대적으로 지표면은 차갑고 윗부분이 따뜻하니깐 새벽에 지표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경우, 지표 부근 대기층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복사안개가 발생하게 되지요. 하지만 반대로 햇빛이 나면서 기온이 올라가면 이와 반대로 역전이 되겠지요...그렇게 안개는 쉽게 기온의 영향을 받게되면 소멸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안개와 운무가 생기는 원리 및 원인은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운무는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비행기나 자동차와 부딪히면, 유리창에 묻어서 시야가 가려지거나 차량의 외부 센서에 문제가 생겨 운전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운무가 발생하는 원리는 대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고, 이 수증기가 낮은 온도에서 얼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된 후 고도가 높아질수록 저온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운무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에 물증기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대기 온도와 상대 습도도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특정 구간에서 운무가 발생하는 것은 그 구간의 고도나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운전 중에 운무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한 운전을 위해 가속을 감소 시키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비행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안전을 위해 비행 고도를 조정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