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제주도의 오름은 왜 생긴건가요?
다른 지역과 다르게 제주도엔 오름이 많은데요. 어째서 다른 지역에는 없는 독특한 지형인 오름이 제주도에만 있는건가요? 오름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버프버프입니다.
제주도를 '오름의 왕국'이라고 비유하는 것처럼 제주도에는 368개의 오름들이 존재합니다. 오름은 화산 분출물의 성질에 따라 화산 쇄설구, 응회구[환], 용암 원정구로 분류된다. 화산 쇄설구는 폭발식 분화에 의해 공중으로 방출된 화산 쇄설물이 화구 주변에 쌓임으로써 형성되는 화산체이고 , 이것은 다시 분화 양식과 구성 물질에 의해 분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 스코리아콘[분석구]으로, 제주도의 오름은 대부분은 스코리아콘에 해당됩니다. 이것의 구성 물질은 현무암질 마그마 기원의 다공질 화산 쇄설물인 스코리아[송이]이며, 비교적 점성이 작은 마그마의 간헐적 폭발로 일어나는 스트롬볼리식 분화에 의해 형성되었고 물영아리 오름과 모슬봉이 여기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