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잘때가젤이뻐
잘때가젤이뻐22.09.20

바람은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는건가요?

바람이 부는 것을 보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그게 불어오는거같은데 바람은 어떻게 생성되는거고 어떻게 부는건가요?

어떻게 부느냐는 질문의 의미는 예를들어 바람에도 북서풍 남서풍 이런게 있는데 어떻게 방향이 결정되는지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0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붑니다. 즉 기압차와 태양열의 열량에의해 공기(대류)가 이동되는 현상 입니다. 주위의 기압이 비슷하여 대기가 편안하면 대류의 이동이 없어 바람이 불지 않습니다. 저기압과 고기압은 주위보다 높은면 고기압 낮으면 저기압입니다. 어떠한 기준 압력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결국 태양열에의한 것으로 지표면이 대기의 높은곳보다 뜨거운면 지표면의 공기가 상승기류가 되고, 지표면의 공기가 빠져나가 기압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지표면이 차가우면 하강기류가 발생되고 공기가 집중되어 기압이 높아집니다. 하여 지표면의 온도가가 차가운곳(고기압)에서 높은곳(저기압)으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한반도의 겨울은 지표면의온도가 대기의 공기보다 차가워 하강기류가 형성되어 기압이 높아지고, 남쪽바다의 해수면온도가 높아 상승기류가 형성되어(저기압) 육지에서 바다로 바람이 부는 북서풍이 불게 됩니다. 여름엔 좀 다릅니다.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또한 육지보다 열용량을 많이 필요로하여 공기가 팽창되고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이는 육지에서 형성된 열용량보다 많아 육지보다 더큰 고기압이 되어 바람이 바다에서 육지로 붑니다. 하여 남동풍이 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 바람의 방향 역시 앞서 말씀드린 요소인 온도, 기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행성 내에서 바람의 방향은 행성 자전에 의한 영향(전향력=코리올리 효과)도 받습니다.

    북서풍, 남서풍 같은 바람은 온도와 기압권에 따른 바람입니다. 고기압 지대와 저기압 지대가 만들어지게되면 기압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기므로 북서풍, 남서풍과 같은 바람이 생깁니다.

    추가로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무역풍의 경우 적도인 0도에서 30도 부근에서 발생하는 바람으로 북동에서 남서쪽으로 부는 바람입니다. 이렇게 부는 이유는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영향과 적도의 태양 에너지, 지열등의 영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적도 부근의 태양 에너지가 강해지면서 상승기류가 생겨 저기압이 형성됩니다. 그리고 30도 부근은 상대적으로 고기압이 형성되 바람이 불어오는데, 이 때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북남 방향이 아닌 북동에서 남서로 불어오게 됩니다.

    편서풍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기압인 30도 부근의 공기가 60도 부근으로 불어나가는데, 이 때 코리올리 효과(전향력)의 영향이 작용하여 남서에서 북동으로 불어나갑니다.

    극동풍의 경우 60도 부근의 저기압과 극지역의 고기압(적도와 반대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하강 기류에 의한 고기압)에 의해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바람이 붑니다. 이 때도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단순히 북남이 아닌 북동에서 남서입니다.

    그리고 이런 거시적인 바람 외에도 지역적으로 온도와 기압 차에 의해 그리고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바람의 방향이 결정돼 부는것이죠.

    <코리올리 설명>

    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자전하기도 하고 여러기상현상, 지각현상, 우주의 영향등 때문에 기압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기압에서 저기압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것을 바람이라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바람은 기압 차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바다는 물이기 때문에 육지보다 열용량이 더 큽니다.
    따라서 낮에는 육지가 더 빨리 뜨거워지게 됩니다.

    육지가 더 뜨겁기 때문에 공기 또한 더 뜨겁고 팽창하게 됩니다.
    이 팽창한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 육지의 공기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면 고기압인 바다에서 저기압인 육지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