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미국에 대한 31조 투자는 국내 관련업계에 앞으로 악재로 작용하겠죠?
현대자동차의 미국에 대한 31조 투자는 국내 관련업계에 앞으로 악재로 작용하겠죠?
1차 벤더들은 미국에 같이 갈수도 있겠지만 2 3차 벤더들은 그러지 않을테니까요.
현대차가 미국에서 생산한만큼 국내에서 생산량은 줄어들테고 국내에 있는 2 3차 벤더들은 매출이 줄어들거라 생각이 들어서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의 글로벌 생산량이 단기적으로 급격히 늘어나지 않는 한, 미국생산증가는 국내생산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국내 공장에서 연간 180만대를 생산중이넫 미국생산비중이 커지면 일부 물량이 해외로 이동하고 이는 곧 국내 협력사들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수 밖에 없습니다.
국내 2,3차 벤더에도 분명 악재입니다.
현대차의 국내 생산량이 줄면 부품 수요도 감소하고 생산물량마저 해외로 이동하면 2,3차 벤더의 타격은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국내에 남은 물량을 두고 2,3차 벤더간에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가 인하 압박도 더 강해질 것이고 수익성이 악화될 것입니다. 연쇄적으로 2,3차 벤더의 감소는 국내 자동차 산업에서 약 70~80%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부품은 결국 관세가 적용되고 거기다 추가적으로 운임비용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런 부품사들은 악재가 맞습니다
즉 핵심부품사인 현대모비스는 해외투자로 나서고 있고 이들은 현대비계열사 수주확대와 전기차의 전동화의 수주가 다각화가 되서 이런 부품사이외에는 악재가 맞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생산해야할 생산시설이 미국으로 이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이나 경제적 효과가 미국에서 발생되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현재자동차에 부과 예정이었던 관세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차 뿐만아니라 한국 전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만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충분히 일리가 있는 주장인데요. 국내에 있어야 할 투자가 미국으로 이동되면서 국내 세수, 고용, 간접 산업 활성화에 악영향을 주게되어 경제에 타격을 줄것이라 예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대차가 미국으로의 투자를 늘린다면
국내 투자 여력이 제한되는 등 이에 협력사 등의
매출은 줄어들어 국내 경제에는 좋지 못할 가능성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대자동차의 미국에 대한 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31조원을 들여서 미국 내에 자동차 생산 공장을 세우게 된다면
그 만큼 우리나라에서 일자리와 매출이 줄어들기 때문에
우리나라로 보자면 분명 악재가 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