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모나코라는 국가는 입헌군주제인데 이제도가 무엇민가요?

모나코라는 매우 작은 도시국가는 입헌군주제도로 운영되던데요.

입헌군주제도가 정확히 무엇이고 현재 다른 일반정치제도와 어떤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헌군주제란 헌법 체계 아래서 세습되거나 선임된 군주를 인정하는 정부 형태입니다. 즉 정치적 군주의 권력이 헌법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체제가 입헌군주제입니다. 현대의 입헌군주제는 보통 권력 분립의 개념을 충족하며, 군주는 국가원수의 역할을 합니다. 모나코는 서유럽에 위치한 도시국가이자 입헌군주제 국가라고 함. 지중해에 접해있고 프랑스에 둘러쌓인 국가이기에 외교권, 국방은 프랑스에 위임했고 프랑스가 모나코의 국방을 맡고 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나코는 모나코 공(公, Prince)이 다스리는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의회제) 국가입니다. 국민의회(Conseil National)는 총 24명의 의원으로 구성됩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의원내각제 국가와 달리 모나코의 총리는 다수당의 당수가 아닌 프랑스 정부가 추천한 인사 중에서 모나코 공이 임명할 정도로 실질적으로 프랑스의 보호령 아래 있습니다.

    우람한슴새님이 질문한 입헌군주제라는 것은 국왕이 통치권을 갖고 있으나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해 헌법을 통해 국왕권을 제한하고, 헌법에 의해 총리(수상) 등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정치 시스템입니다. 현재 영국, 일본, 태국 등의 국가의 정치제도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총리는 다수당의 대표가 되지만 모나코는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있기에 프랑스 시민권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란 헌법 체계 아래서 세습되거나 선임된 군주를 인정하는 정부 형태 입니다. 즉 정치적 군주의 권력이 헌법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체제가 입헌군주제 인데 현대의 입헌군주제는 보통 권력 분립의 개념을 충족하며, 군주는 국가원수의 역할을 합니다. 군주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는 전제군주제에서와는 다릅니다. 이러한 입헌 군주제 국가는 영국, 태국, 일본, 스웨덴 등의 국가가 다 입현 군주제 국가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나코 공국 줄여서 모나코로 불리는 세계에서 바티간 시국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 나라입니다. 한국의 1개 동정도의 크기입니다. 입헌군주제로 운영되고 있는 이 나라는 프랑스 보호 아래 독립국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입헌군주제는 군주가 헌법에서 정한 제한된 권력을 가지고 다스리는 정치체제로 군주의 권한은 형식적 의례적이며 실질적으로는 내각에 정치적 권하과 책임이 있는 정치체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