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슬기로운만보
슬기로운만보

백테스팅은 왜 1970년대가 들어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주식에 관심이 많아진 학생입니다.,

백테스팅을 통해서 과거의 기록을 보는데 찾아 보다 보니까 1970년대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왜 그런건가요? 꼭 포함되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0년대를 무조건 포함시키지는 않습니다.

    백테스트와 같은 경우에는 특정 기간 등을 산입할 수도 있고

    제외시킬 수 도 있는 등 한 것이며 무조건 포함시켜야 한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이후부터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기에 1970년대와 유사한 하이 인플레이션 상황이 올 것에 대비하는 것은 꽤나 중요합니다. 올웨더를 포함한 Risk Parity 전략들은 많은 부분을 채권에 투자하고 있고 하이 인플레이션인 상황에서 채권의 수익률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현재와 상황이 비슷한 70년대를 백테스팅에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백테스팅은 과거 데이터에 적용하여 거래 전략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백테스팅을 사용하면 전략이 과거에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확인하고 미래에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거래 전략을 백테스팅할 때 가능한 한 많은 과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가 많을수록 결과가 더 신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전략을 테스트하려는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1970년대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다양한 시장 조건에서 전략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1970년대는 석유 위기,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 등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들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정치적 변화의 시기였습니다. 백테스팅에 이 기간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이러한 이벤트 동안 전략이 수행되었을 수 있는 방법과 향후 유사한 이벤트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트레이딩 전략을 백테스팅할 때 반드시 1970년대의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전략의 성과를 보다 포괄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그렇게 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