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려한천산갑296
화려한천산갑29622.12.12

우주선이 돌아올때는 어떤방식으로 돌아오나요?

우주선이 올라갈때는 발사대에서 쏘아올리는 힘에의해서 올라가지마는 지구로 돌아올때는 어떤 원리로 돌아오나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떨어지고, 비행이아닌 추락의 형태, 그리고 보호해야할 대상을 캡슐안에 보관한채로 떨어지게만듭니다.


    이후 gps추적기의 신호를통해 구출을 진행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는 공기가 거의 없는 진공상태 입니다.

    따라서 공기에 의한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우주에서 어떤 물체를 밀면

    외부에서 다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우주 끝까지 밀려갑니다.

    우주선을 예로 들어볼까요?

    우주선이 달을 향해 30 km/s 의 속도로 가고 있다고 합시다.

    (참고로 인공위성이 지구주위를 돌 때의 속력은 약 7.8 km/s ,

    지구를 이탈할 때의 속력은 약 11 km/s 입니다)

    우주선은 처음 30 km/s 의 속력을 내기 위한 동력만 소비하고 이 속도를 내고나면

    엔진을 꺼도 끝까지 30 km/s 의 속도로 달까지 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기 저항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저항이 없는 우주공간에서는 우주선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우주선의 속도를 높이거나 줄일 때에만 동력을 사용합니다.

    비행기처럼 비행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동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구에서처럼 공기저항이 있을 때는 짧은 거리를 가는 것이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되지만

    이와는 달리,우주공간에서는 우주선의 운동상태를 작게 변화시킬 때에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됩니다.

    달을 탐사할 때 직선 코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우주선을 엄청난 힘으로 잡아당기는

    지구의 중력때문에 직선코스로 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클릭해 보세요!

    나사에서 달을 탐사할 때 사용하는 코스입니다.

    일단, 우주선을 지구의 원궤도에 올려서 몇번 돌리게 한다음

    그 원심력을 사용하여 원궤도를 이탈합니다. 이 때 이탈할 때에 동력이 사용됩니다.

    이 때 사용되는 동력의 크기는 직선코스에서 소모되는 동력보다 훨씬 적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왕복선은 우주에서 정거장에 도킹되어 있다가 복귀할때는 추진점화를 통해 지그로 진입합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내려오면 낙하산을 이용하며 바다에 착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