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6.06

녹는점은 어떤 원리로 결정되는 건가요??

금속에 열을 가하면 녹기 시작하는 온도를 녹는점이라거 하는데요. 이게 금속마다 그 온도가 다 다르던데오. 녹는점은 어떤 원리로 결정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녹는점은 금속의 분자 구조와 결합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녹는점이 높은 금속은 분자 구조가 단단하고 결합 상태가 강한 반면, 녹는점이 낮은 금속은 분자 구조가 약하고 결합 상태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금속의 결합 상태는 금속의 원자 코어와 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금속의 전자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트륨과 금은 둘 다 금속이지만, 나트륨의 녹는점은 97.8℃로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이는 나트륨의 전자 구조가 금의 전자 구조보다 불안정하고, 분자 구조가 약하며 결합 상태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금은 전자 구조가 안정하고, 분자 구조가 단단하며, 결합 상태가 강하기 때문에 높은 녹는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있습니다. 분자 혹은 원자들이 서로 결합을 해 고정된 형태로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데 외부의 에너지가 가해질경우 분자 혹은 원자 사이 결합이 느슨해지며 우리가 알고 있는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되는데 그때의 온도가 녹는점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녹는점은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가 변화할 때의 온도로, 만일 녹는 물질이 순수한 물질이라면 일정온도에서 녹는점이 나타납니다.

    이는 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결정 격자 에너지와 관계됩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보통 분자성 결정은 이온성 결정보다 낮은 녹는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죠.

    다시 말해, 어떤 원리라기 보다 분자의 격자의 결합과 관련된 에너지에 따라 녹는점이 결정된다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융점 또는 융해점이라고도 한다. 녹는 물질이 순수한 물질이라면 그 물질이 녹는 동안 가열하여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정 온도구간이 나타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할 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 한다. 순수한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freezing point)이 항상 같으며 각 물질마다 녹는점은 모두 다르므로 그 물질만이 가지는 고유한 성질인 물질의 특성이 된다. 예를 들어 얼음은 0℃에서 녹고, 물은 같은 온도 0℃에서 언다.


    가열곡선(heating curve)에서 보이는 녹는점에서 일정온도 구간이 나타나는 이유는 고체가 녹고 있는 동안 흡수한 열이 물질의 상태를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시키는 데에 모두 쓰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1기압(1atm)에서의 융해온도를 그 물질의 녹는점이라 하며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거나 압력이 변하면 녹는점도 달라진다. 유리, 플라스틱 등 비결정질(非結晶質)고체에는 녹는점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녹는점은 분자간의 거리에 따라서 결정이 됩니다.

    그러니간 열을 줬을때 얼마나 분자간의 거리가 떨어지냐에 따라서 녹는점이 되는데 이때 그 분자간의 떨어트리는 힘의 크기가 가장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녹는점 / 어는점 등 모두 분자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입니다.

    분자 간의 구조 결합이 단단할수록 변화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요됩니다. 즉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결정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녹는점은 물질이 가진 고유의 성질입니다

    물질의 분자 결합이 끊어지면서 물체가 고체에사 액체로 녹는데 이때 필요한 열에너지 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