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수수한숫돌23
수수한숫돌23
24.04.27

물은 얼 때 순수한 물만 언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바닷물과 같이 소금과 물이 섞인 경우에 온도가 낮아져 얼게 될 때, 순수한 물만 언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왜 그런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때 물분자들이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하며 얼음이 되는데 순수한 물분자들로만 이루어져야만 안정적이기 때문이죠~ 바닷물이나 소금물이 얼때 소금과 같은 용질은 결정구조에 포함되지 않으며 용질은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것을 방해하게 합니다. 또한 소금이 물에 녹으면 물의 어는점은 낮아지게 되고 용질이 물 분자들 사이에 들어가 얼음이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게 하는것이죠~ 순수한 물의 어는점은 섭씨 0도지만 소금물에 의해서 얼게 되는 더 낮게 되는것이죠! 따라서 온도가 점점 낮아지면 순수한 물이 얼어 결정화되고 소금은 물에 남게되어 농도를 점점 높이게 됩니다. 소금물이 얼때는 처음에는 순수한 물이 얼고 소금이 농축된 물은 더 낮은 온도가 되어야 얼기 시작하므로 얼음은 거의 순수한 물로 구성되게 됩니다! 따라서 바닷물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빙하같은경우 순수한 물로 이루어져있으며 빙하가 형성될때 소금은 물에 남아 농축되므로 순수한 물로 구성이 되는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순수한물만 어는건 아닙니다.예를 들어 소금물의 경우 소금성분때문에 0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긴하지만 소금물 그자체로 얼어붙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