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후투티246
비범한후투티24623.03.27

비가 온 뒤 무지개가 생기는데 그 원리는 무엇인가요?

비가 오고 난 후에 햇빛이 내리 쬐던 날 무지개가 보였습니다. 무지개는 일곱 빛깔이라고 하는데 왜 무지개가 생기나요? 왜 일곱 무지개인거죠?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공기중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며 빛을 굴절시며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지개는 7가지 색상이 아닙니다.

    프리즘으로 광분한 무지개는 207개의 색상으로 구분 되었으며, 7가지 색상은 뉴턴에 의해 구분 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까지 5색으로 구분했으며, 미국은 6색으로 구분하는 등 국가마다 다양한 수로 무지개의 색을 표현했습니다.


  • 비가 내리는 중에 태양이 나타나면 빛은 비 내림과 반사로 구성된 물방울에서 굴절되어 일곱 가지 색상으로 분해됩니다. 이렇게 분해된 빛이 다시 공중으로 반사되면 무지개가 생기게 됩니다. 일곱 가지 색상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입니다. 이 색상들은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됩니다. 따라서, 비가 내린 후에 태양이 나타나면 일곱 가지 색상으로 빛이 분해되어 무지개가 생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는 비가 온 뒤 공기 중에 있는 물방울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해서 빛을 분산시킵니다. 그래서 빛을 굴절이 됩니다. 빛마다 굴절되는 각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색깔로 보입니다. 그리고 7색깔로 보이는 것은 인식 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는 무지개를 17가지 색으로 규정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7색깔 무지개라고 배웠기 때문에 그렇게 인식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