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23.07.07

훈민정음의 혜례본과 예의본, 언해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훈민정음의 기록에도

혜례본, 예의본, 언해본이 각각 존재하던데

혜례본과 예의본 그리고 언해본은

훈민정음의 어떤 내용들을 기술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7.07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해례는 성삼문, 박팽년 등 세종을 보필하며 한글을 만들었던 집현전 학사들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원리와 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 글 입니다.

    임금의 글- 어제 서문, 본문: 세종이 간략히 해설한, 글자의 운용 방법

    신하의 글- 해례 / 제자해: 글자 창제에 관한 해설, 초성해: 초성 글자에 관한 해설, 중성해: 중성 글자에 관한 해설, 종성해: 종성 글자에 관한 해설, 합자해: 초중종 글자를 합한 글자에 관한 해설, 용자례: 글자를 활용한 예시

    정인지 후서- 정인지 서문의 위치를 따르면 발문에 가깝습니다.

    예의본은 해례와 예의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 달리 예의 부문만 들어가 있습니다.

    언해본은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