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시 휴전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상당한 기간동안 이념으로 갈라진 양진영이 처참한 전쟁을 한 우리의 아픈 역사인데
결국 분단의 결론으로 현재까지 시간이 흘렀습니다
기나긴 전쟁의 기간을 거치면서
어떤 것을 계기로 휴전을 하게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휴전은 누가 먼제 제안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1년 6월 소련이 휴전 제안을 했고
이떄부터 휴전회담이 시작되어 1953년 7월 휴전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미국과 소련의 국제적인 관계 유지가 중요한 소련입장에서 북한때문에 미소관계가 영향을 받아선 안된다는원칙때문에 중공을 끌여들였고 소련은 빠지면서 북한에 휴전 제의를 종용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25전쟁 당시 휴전 제안은 소렴이 먼저 했다고 합니다. 중국은 체면 때문에 먼저 하지 않았고 소련이 중국과 북한에 먼저 제안을 했고 이에 대해서 미국에게 의사를 먼저 보낸 것이라고 합니다. 당시 남한 정부에도 휴전에 찬반이 많았는데 김구 선생등은 반대를 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찬성을 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휴전협상은 1951년 7월 10일에 처음 열린 이후로도 UN군과 공산군의 전투가 반복되며 약 2년간 이어졌다. 그리고 1953년 7월 27일 한국군 대표 없이 UN군 대표 클라크, 북한 대표 김일성, 중공군 대표 팽덕회가 '정전협정서'에 서명하였다. 그로 인해 3년 1개월 2일, 총 1129일 동안 지속된 6·25전쟁은 휴전되었다. 또한 정전협정에 따라 설치된 군사정전위원회가 한반도의 정전체제 이행 여부를 감시하게 되었다. 이처럼 UN군과 공산군은 종전협정이 아닌 정전협정을 체결하였기 때문에 국제법상 한국전쟁은 일시 중단된 상태로 남았다. 정전협정은 전쟁을 종결하는 의미의 평화조약, 강화조약의 성질이 아니라 단순히 전투행위를 중지시키는 협정에 불과한 것이었다.
한편 휴전회담 시 이승만 정권은 미국의 동의 없이 반공포로를 석방하며, 휴전협상에 대한 반대의사를 국제사회에 강력히 표명하였다. 그 결과 1953년 10월 1일 전후 한국사회의 안전보장을 위한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며, 미군 주둔이 허용되었다. 이로써 한미 연합방위체제, 한미주둔군지위협정 및 각종 안보ㆍ군사협정의 기틀이 마련됐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