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영리한메추리27
영리한메추리27

코인할때 보조지표 뭐보시나요???

상승장

횡보장

하락장

종류별로

보조지표보는게 다른가요?

주로 확률이 높으신

선생님들께서는 어떠한것들을 주로 참고하시는지

궁금합니다^_^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제가 수익률이 좋은 건 아니라 말씀드려도 될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5일선 20일선 60 선 이것들 중심으로 보고 매물대와 저항선 지지선 이런 것들 중심으로 차트를 보고 참고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코인 투자할 때 보조 지표로 상승장에서는 이동평균선과 상대강도지수를 많이 봅니다. 횡보장에서는 볼린저 밴드와 MACD를 참고합니다. 그리고 하락장에서는 RSI와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를 주로 사용하는데 전문 투자자들은 이런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시장 상황에 맞게 조합해 사용합니다.

  • 1.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s):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을 비교하여 추세를 확인합니다.

    2.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여 추세 전환을 예측합니다.

    3.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변동성을 측정하고 상한선과 하한선을 통해 가격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4. 이동평균수렴확산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파악하여 매수 또는 매도 시점을 결정합니다.

    5. 거래량 (Volume): 거래량을 통해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도를 파악하고 가격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 이동평균선 :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계산하여 현재 가격과 비교함으로써 가격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

    RSI : 최근 가격 변동의 크기를 비교하여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

    MACD : 두 개의 이동평균선(단기 EMA와 장기 EMA)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가격 추세의 변화 시점을 포착하는 데 사용

    볼린저 밴드 : 이동평균선 위아래로 일정한 표준편차 거리에 위치한 밴드를 그려 가격 변동성 및 잠재적인 매매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

    스토캐스틱 : 최근 종가가 일정 기간의 가격 범위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며,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

    피보나치 되돌림 : 가격이 상승 또는 하락한 후 되돌림이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인 지지 및 저항 수준을 예측하는 데 사용

    등 주식 시장 분석에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 저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이동평균선과 더불어서 코인 시장의 호재와 악재 등을 구분하는 등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대장주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주로보며 대세장인지 등을 살펴보고있으나

    투자코인과 대장주의 상관관계가 명확치않기에 이마저도 불확실한듯보이더라구요

  • 코인 투자 시 참고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는 RSI(상대강도지수), MACD(이동평균수렴확산), 스토캐스틱, CCI(상대적파워지수), 볼린저밴드, 이동평균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지표들은 코인의 상승, 횡보, 하락장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으며, 보통 여러 개의 보조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시장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보조지표들도 100% 완벽한 예측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자를 결정할 때에는 여러 지표 중 하나로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코인 투자 시에는 다양한 보조지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 RSI(상대강도지수)는 가격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30%와 70%를 기준으로 초과할 경우에는 과매도 혹은 과매수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MACD(이동평균수렴확산)는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통해 추세를 파악합니다. 스토캐스틱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 범위를 백분율로 나타내며, %K와 %D 두 가지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CI(상품 채널 지수)는 가격과 평균값의 차이를 표준편차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추세를 파악하며, 볼린저밴드는 주가 움직임을 감싸는 띠로서 상대적인 고점과 저점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