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정직한낙타5
정직한낙타5
21.04.04

복용하다 남은 약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복용하다 남은약을 그냥버릴수가 없어서 동네 약국에서 처리 가능하나 해서 가지고 갔더니 안된다고 하면서 대형 약국에 가져다 주라고 합니다 가까운곳에 대형 약국이 없는데 모았다가 가져다 주어야 하는지 다른 방법이 없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정은 약사blue-check
    송정은 약사
    나은약국
    21.04.04
    약·영양제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의약품의 경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 예방을 위해서 처리과정이 따로 필요합니다. 폐의약품은 근처약국이나 약국에서 회수처리가 어려운 제품은 보건소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물약이 팩포장인 경우 포장 그대로 가져오시면 되고 소분된 물약의 경우는 한병에 모아서 가져오시면 됩니다. 알약은 경우는 포장제를 모두 제거하시고 까서 내용물만 한군데 모아서 가져와주시면 됩니다. 연고등 바르는 외용제는 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남은 그대로 가져오시면 회수 처리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더이상 필요없는 약이 있으시다면 근처 약국에 폐의약품으로 갖다주시면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받은 전문의약품이나 일반의약품이나 모두 가까운 약국에 폐기를 부탁하면 됩니다.

    다만 제품 그대로 갖다주시지는 마시고,

    알약은 알약끼리 한통에 모아서,

    액상형태의 경우(겔포스도 포함) 큰병에 모아서 갖다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약이 들어있던 공병이나 포장지들은 집에서 폐기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비슷한 답변을 드린 일이 있어 아래와 같이 기재해드립니다.

    더 이상 복용할 계획이 없는 경우 근처 약국이나 보건소로 폐기를 요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지자체에서 이 약들을 수거하여 별도의 폐기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여담으로 최근에는 지자체에서 수거가 원활히 되지 않아 약국마다 폐기 의약품이 다소 쌓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간혹 이러한 사정으로 의약품 수거를 도와드리지 못하는 약국이 있을 수 있으니

    이 경우 가급적 다른 약국으로 방문하시어 요청하시길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이나 남은 영양제 폐기는 종량제 봉투에 할 경우

    환경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동네 근처 약국이나

    보건소에 모아서 버려주시는 게 좋습니다

    혹시나 시럽 형태가 있다면 한 군데에 모아서 버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국에 폐기하신 경우엔 보건소에서 일괄적으로

    모아서 처리합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타깝네요. 원칙은 약국이나 보건소에 가져다 주시는 것이 맞습니다.

    약을 그냥 버릴 경우에는

    하천이나 토양으로 들어가 주변 동식물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정수과정에서 변형되어 독성을 띄게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노재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관리하는 약의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개봉의약품 관리지침에 따르면 시럽제, 점이제, 점비제, 안약,가글등은 1개월이며 가루약, 연고등은 6개월 기타 처방조제된 약들은 1년입니다.

    유통기한 지난 약이나 필요없는 약들을 하수구나 쓰레기통에 그냥 버리시면 대기,수질,토양오염을 시키고 돌연변이종의 원이이 되며 생태계 교란을 시키고 일부 미생물들이 항생제에 노출이 되어 슈퍼박테리아가 되기도 합니다.

    가까운 보건소나 약국내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셔야 하나 요즘 약국에서는 폐의약품 수거가 의무가 아니라 없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럴때는 보건소에 가져다 주셔도 되고 꼭 대형약국이 아니더라도 수거함이 있는 약국들이 많으니 주위 다른약국에 한번 문의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복용하다 남은 약은 근처 약국에서 폐기요청하셔야합니다.

    -폐기약의 경우 소규모의 약국은 폐기요청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약국에서 폐기함 만들고, 그냥 모아서 보건소 가져다 주면 되는 건데 왜 안받는지 모르겠습니다.)

    -복용하다 남은 약을 일반쓰레기에 버릴 경우 환경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능하면 모아서 대형약국에 가서 폐기요청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영양제나 처방약이 남으셨다면 가까운 약국, 보건소로 가져와 주시면 됩니다

    특히 처방약 같은 경우에 그냥 일반쓰레기 봉투에 버린다면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눈치보지 마시고 가져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국은 국민들이 안전하게 의약품, 영양섭취를 도와드릴 의무가 있지만

    약을 안전하게 폐기할 의무도 있기 때문에 가져와주시면 됩니다

    약국에 보관한 폐기약들은 보건소에 전달되며 처리 됩니다


    폐기약을 받는데에는 따로 기준은 정해져있진 않습니다.

    왠만한 약국들은 폐기약을 받아주겠지만 간혹 약국 사정상

    못 받는 경우도 있으니 약국 방문 전에 전화 문의를 해보시는 게

    번거로우시겠지만 가장 빠른 방법일 겁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