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활발한당나귀134
활발한당나귀13423.06.30

일기예보는 왜 이렇게 안맞죠?

현대처럼 기상 이론과 관측 장비가 발달한 시대에 일기 예보가 왜 이렇게 틀린거죠?

아무것도 몰라도 비가 온다, 안온다 맞을 확률은 50프로 아닌가요?

요 며칠동안 일기예보는 50프로 확률도 안되는거 같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일기예보의 경우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변수의 변화에 따라 확률이 급격히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은 다양한 요소의 조합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기 상태, 온도, 습도, 바람, 구름 등의 요소가 상호작용하면서 예측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상 조건을 측정하고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측정 장비의 오차, 데이터 수집의 한계, 모델링 알고리즘의 제한 등이 예측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기예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노르웨이 기상청은 우리나라의 날씨를 99% 이상 맞춥니다.

    어플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역마다 다를수 있고 시간마다 다를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비가 온다 안온다로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사실 제일 정확한 예보는 1분전 예보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날씨를 예보한다는것은 힘든일이라고 합니다.

    예보를 믿고 안믿고 보단 대비 차원에서 생각해주시는게 좀더 편하지 않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기 예보는 기상 이론과 관측 장비를 사용하여 대기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기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기 예보는 항상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일기 예보가 틀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기의 상태는 매우 빠르게 변합니다.

    • 대기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 대기의 상태를 관측하는 장비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 일기 예보 모델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예보시 지형적 특성, 한국인 고려한 일기예보 모델 부재 . 지구기후문제,전문장비 부족


  • 대기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상 조건은 고도, 온도, 기압, 수증기, 풍속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변수들의 조합과 변화가 예보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 예보에서는 초기 조건과 모델의 정확성에 따라 예보의 오차가 증폭될 수 있습니다.

    기상 예보는 관측 데이터와 수치 예보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관측 장비의 한계나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가 낮은 지역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델링 과정에서 물리적인 과정을 간소화하고 근사하는 등의 가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기 예보의 정확성은 예보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단기 예보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정확하며, 예보 기간이 길어질수록 오차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초기 조건의 오차와 모델의 불완전성 등이 예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기상 조건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지형, 해류, 지역 특성 등이 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지역에서는 예보의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50%의 확률로 비가 온다는 것은 일반적인 통계적인 표현입니다. 하지만 예보의 정확성은 예보 기간, 예보 지역, 예보 모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대의 기상 예보는 과학적인 모델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지만, 여전히 예보의 오차와 한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