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선 상황을 보여주는 영상은 이론에 맞나요?
블랙홀 이라면
무한한 중력이 하나의 특이점에 모여
시간과 공간의 소멸이 생기는 천체로 아는데요
무한한 중력에 의해서
공간의 무한한 휘어짐 구조로
빛 입자 또한 빠져들어 가는 걸로 알고있고
그 공간의 휘어짐을 탈출하기 위한
탈출속도가 빛의 속도를 넘어선 지점이
사건의 지평선 이라 하는걸로 압니다
결국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선 구간에서는 빛이 탈 출을 못하다보니
그 부분 부터는 까맣게 보여서
블랙홀이라 하는데요
사건의 지평선은 빛의 속도 이상이 되야 나올 수 있다보니
어떤 물리적 물체라도 빛의 속도를 못넘어서니 그안에 가서 보고 나올수 없지요
근데 최근에 사건의 지평선 내부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여럿 봤습니다
볼 수가 없는 구조인데
그럼 이 영상들은 어떤 이론을 기반으로 한 시뮬인가요"
그리고 그 시뮬을 통한 영상들이
진자 그렇다라고 납득할만한 근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질문을 보고 나사가 만든 시뮬영상 한번 보고왔습니다. 블랙홀 주변으로 광자고리를형성하고 내부는 빛조차 나오지 못하니 검은색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은 현재 과학기술로 충분히 만들수 있을것 같아보입니다. 실제로 블랙홀을 관측하면 주변에 광자고리가 보이기도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