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통 양치를 할때에 칫솔에 물을 묻히고 치약을
안녕하세요. 보통 양치를 할때에 칫솔에 물을 묻히고 치약을 뭍히잖아요. 제가 알기로는 물을 묻히지말고 치약을 뭍혀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
우리 빨래 할 때 오염이 심한 부분은 옷감에 세제를 바로 묻혀서 빨면 더 잘 지워지잖아요. 그거랑 마찬가지로 물을 묻히면 치약이 빨리 풀어져 녹아버리고 거품이 과하게 나기 때문에 오히려 양치를 깨끗이 하는데 방해가 되고, 온 치아에 치약이 골고루 묻지 못해요. 그래서 치약을 짜실 때는 칫솔에 물을 묻히지 마시고 치약 입구를 칫솔에 바짝 갖다대고 짜서 칫솔모 사이사이에 치약이 들어가게끔 짜셔야합니다. 칫솔에 얹듯이 짜시면 안돼요. 제가 말씀드린대로 짜면 치약을 완두콩만큼만 짜도 골고루 다 닦을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약에 물이 닿으면 치약의 중요 성분인 연마제가 희석돼 농도가 낮아질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칫솔이 과도하게 말라있으면 물 한번 먼저 묻혀도 됩니다 아마도 치약을 칫솔에 짠 후에 물을 묻히지 말라는 말인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정상적으로 침이 나오는 상황이라면 물을 뭍히지 않아도 됩니다.
구강건조증과 같이 구강내가 건조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약간의 물을 뭍히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칫솔에 물을 묻히고 안묻히고 여부는 세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양치를 하셔도 괜찮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