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아이에게 경제교육은 언제 해야 효과적이고 평생 갈까요?

저는 어려서 부모님의 돈 쓰는 행동 하나를 보고

아주 어려서부터 부모님의 근검절약하는 모습을

보고 자랐습니다.

요즘은 아이를 하나 정도 낳고 귀하게 키워서

따로 경제교육을 시키지 않는 경향도 있는 것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아이의 경제교육은 아이가 살아가는데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님의 경제관념에 따라서 아이 또한 아이의 경제 개념 확립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경제교육을 위해서 돈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아이가 용돈을 저축하는 습관을 길러주면 좋겠습니다.

      아이 손을 잡고 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주고 수시로 저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즘은 유치원 정도부터 경제교육을 시작하시는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경제교육이라고 하는 게 그나마 해봤자 통장을 만들어 저금하는 방법 정도였는데요. 요즘에는 이걸 뛰어 넘어서 실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제교육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부모님께서 아이 손을 잡고 근처 마트에 가셔서 아이가 직접 돈을 가지고 사고 싶은 물건을 골라보게 하는 겁니다. 이렇듯 아이와 생활 속 경험을 통해서 경제교육을 하시는게 가장 무난하고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직접 계산을 해보게 하면서 돈의 가치와 물건의 가치 이걸 가늠해 볼 수 있게 하는 것이죠. 그리고 이를통해 어느 정도 돈이 있어야 물건을 살 수 있는지도 직접 체험해볼 수 있어서 매우 좋습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돈을 사용할 때에는 항상 내가 정말 필요한 게 무엇인지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가장 적합한 걸 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건을 사고 난 다음에는 나의 소비가 바람직하였는가 반성해 보아야 된다는 것이죠. 이 점을 아이에게 반드시 주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경제교육의 경우 숫자의 개념과 셈을 어느정도 이해하는

      나이에 시도하시는 것이 아이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많이 교육하며 용돈의 개념과 노동소득의

      개념부터 경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경제교육은 초등학교 입학할 시기에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돈은 쉽게 버는 것이 아니라 땀과 노력의 결실로 힘들게 번 것임을 인지시켜 주시면서 ‘

      용돈의 의미와 개념, 알뜰한 소비방법, 용돈 기입장을 적는 방법, 용돈을 쓰고 남은 돈은 저축 및 저금을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제교육을 어느 시기에 특정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하기 보다는 꾸준히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용돈을 주면서 용돈 기입장을 쓰게 하고, 심부름을 하게 해서 심부름 댓가로 용돈을 주는 등 생활 속에서 경제 교육을 시켜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제교육은 미취학 아동일 때도 가능합니다.

      아이와 함께 아나바다 장터 프로그램도 함께 체험해 보고, 또한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들이 경제 활동이라는 것을 알게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계속해주고보여주는게좋아요

      질문자님이부모님행동을보고배운것처럼아이역시 그러한것을 부모님을보고배울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