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도롱이
도롱이

학점의 A, B, C, D에도 각각의 뜻이 있나요?

흔히 학점이나 평가할 때 알파벳 A, B, C, D, F를 사용하는데요.

단순히 알파벳 순서라고 하기에는 E가 빠져서 각 학점(알파벳)마다 뜻이 있을 것 같은데, A~D 각각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기마법사 아하라
    아기마법사 아하라

    ABCDF 등급은 성적 표기 중에 하나이고요. 가장 최저가 F인데 제일 나쁘고 통과 자체를 못한 등급으로 재수강이 필요합니다. 주로 로마자 순으로 성적을 나열한 것이고요. 이수 기준으로 A+가 최고이고요. D-가 최저라고 합니다. A는 대한민국에서는 수에 해당합니다. B는 대한민국에서 우와 비슷합니다. B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평균 평점이고요. C는 대한민국에서 미에 해당합니다. 대학 학부생들과 전문대학원 대학원생에게 졸업 인증으로 요구하는 최소 학점이 C이상입니다. D는 대한민국에서 양에 해당하고요. D부터는 재수강을 받아야 합니다. 졸업도 턱걸이 수준으로 아슬아슬하게 할 확률이 높은 수준입니다. F등급은 대한민국에서 가이고요. 낙제이며 과락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F는 미수강으로 취급이 되는데요. 신규수강으로 처리가 된다고 합니다.

  • 관용적으로 A-매우 잘함 B-잘함 C-보통 D-미흡의 의미로 활용이 되고요, F는 Failure의 약자로 사실상 학점은 D가 제일 낮은 성적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E는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