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검붉은할미새88
검붉은할미새8822.01.13

무주택자가 내는 공공주택임대료,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공제 가능하나요?

현재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근로자입니다.

1. 임대료 납입액도 공제 가능하나요?

2. 주택담보대출 이자액도 공제가능하나요?

3. 의료비는 어떻게 자료 취합하는게 제일 편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무주택자가 임대료를 내고있는데, 주택담보대출 이자를 부담하고 있다는 상황이 이해는 가지 않습니다.

    개별 건으로 보면 공공주택임대료는 월세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의료비는 보통 카드사용하고, 홈택스에 자동으로 집계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총급여 7000만원 이하, 무주택세대주인 근로소득자는 월세에 대하여 연말정산시 공제가 가능하며 이 경우 임대차계약서, 이체증, 주민등록등본을 첨부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혁세무사입니다.

    1. 월세액세액공제는 근로소득자 자신의 명의로 요건을 충족하는 규모의 주택임대차계약서가 확실히 있고, 그 계약서 상 주소로 전입신고가 되어 있으면서 실제로 자신의 명의로 월세를 이체하는 경우에 공제가능한 것입니다. 이체내역만 확실하시다면 은행에 이체확인증을신청하시고 월세액세액공제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해당 주택은 시가 3억원 이하이거나 국민주택규모(서울 기준 전용면적 85㎡ 이하) 이하여야 합니다. 이런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면 연간 750만원 한도 내에서 지출한 월세의 10%를 세액공제로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액이 5500만원 이하인 근로자는 12%를 세액공제 해줍니다.

    2. ①주택 취득 당시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의 세대주가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 이하인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그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금융기관ㆍ국민주택기금으로부터 차입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으로 ③차입금의 상환기간이 15년 이상이고 ④주택소유권이전(보존)등기일부터 3월 이내에 차입하여야 하며 ⑤본인 명의의 주택에 본인 명의의 차입금일 때 공제가능하십니다. 한도 등은 사실관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아래 링크 참고바랍니다.

    https://www.koreatax.org/tax/taxpayers/work/turn42.htm

    3.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가 제일 편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세무사입니다.

    1. 무주택자인 경우, 주택 월세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임대차계약서, 주민등록등본, 월세이체내역서 등을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2. 주택담보대출의 이자상환액도 공제가능합니다.

    3. 의료비는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자료에 자동반영됩니다. 반영되지 않는 의료비가 있다면 직접 병원으로부터 영수증을 수취하여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