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야광물체의 빛나는 원리를 알고싶어요
야광 운동화, 시계의 초침, 야광 스티커등
실생활에 많이 쓰이고 있는데
빛이 날때도 있지만 안나는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원리로 빛이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야광의 원리는 반딧불이의 원리와 같습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생물발광을 실생활에 적용한 것입니다.
야광은 다이페닐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부에서 이 두 물질이 만나 이산화탄소가 발생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빛을 내는데 이것이 형광물질이 됩니다.
이 물질도 소멸되므로 시간이 지나면 빛이 약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물체들은 '인광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인광현상이란 빛을 쏘인 후 해당 광원을 제거하여도 잔광이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로 형광현상은 흡수한 빛을 즉시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형광을 말씀 드린 이유는 형광과 인광은 한끗차이이기 때문입니다.
물질에 가시광선을 쏘이면 물질내 전자의 궤도가 들뜬 상태가 됩니다. 들뜬 전자는 불안정한 중간 정도의 궤도를 돌면서 받은 전자기파를 재방출하게 되는데요, 전자가 같은 스핀을 가진 상태에서 방출하게 되면 즉시 빛을 방출하는 형광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스핀을 가진 상태에서 방출하면 잔광으로 천천히 방출되는 인광현상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