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2.07.11

장시간 차량이동시 아이 멀미 피하는 법

주말에 4시간정도 차량으로 이동하여 여행계획이 있습니다. 아이가 멀미를 안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4시간동안 차안에서 잠을 잘수도 없는데 멀미약을 먹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장시간에 걸쳐 차를 탈 때에는

    멀미약을 먹이시고 출발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1시간정도마다 휴게소에 들려서 바깥바람을

    쐬워주는게 좋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출발전에 멀미약을 복용하도록하고

    아이가 어린경우에는 용량과 용법에 주의하여야합니다

    또한 중간중간 바람을 쐐도록 졸음쉼터나 휴게소에

    들르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심리상담사입니다.

    멀미약은 먹이지않는것이좋아요.

    또한 운전시 조금더조심해서해주시고 아이가출반전 너무허기지게하지않으면좋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멀미약을먹이게 된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복용하는것이 좋으며

    너무 긴시간은 힘들수있기에 적절한 시간에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해주시면서 다니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출발 전에 멀미약을 복용 하면 됩니다.

    그러나 3세 이하의 유아는 멀미약을 복용해선 안됩니다.

    꽉 쪼이는 옷은 답답함과 메스꺼움이 생길 수 있으니 가급적 편안한 옷을 입히고, 간단하게 배를 채워주되, 탑승 전에는 음식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멀미증상 : 구토나 메스꺼움만은 아니며 두통, 어지러움도 멀미 증상인데요. 이는 몸이 흔들리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특히 아이들은 평형감각 기관이 완벽하지 않아 어른보다 멀미를 더 많이 하기 쉽습니다.

    * 아이 멀미 안하는 법

    1. 바깥 풍경보기

    2. 창문 열고 대화 나누기

    3. 멀미약은 출발 30분 전에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간식등을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유아 노래등을 틀어주면서 흥미를

    유도해 보세요. 그리고 장시간 운전시 아이는 물론 부모도 피곤할 수 있으니

    휴게소 등에서 잠시 쉬었다가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행가기 전날에 최대한 늦게 재우거나 해서 이동하는동안 잠을 자도록 유도하는방법이 그나마 제일 좋은 방법같습니다.

    잠을 자는게 힘들면 최대한 잠자는 것처럼 누워서 이동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3세 이상부터 먹일 수 있는 멀미약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만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게 대부분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차량이동하기 전에 음식물 섭취를 자제해 주세요. 또 차량이 흔들리면서 아이의 멀미는 거의 100% 일어날수 밖에 없을 텐데요, 아이는 멀미를 하면서 보통 잠을 자기 때문에 잠을 잘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뢰에 휴게소에 자주 들리면서 바람을 자주 쐬도록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멀미약이 방법일 수도 있으나 아이가 장기간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을 한다면

    신체적으로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힘든만큼 중간중간에 휴게소를 자주 들리시는 등 해보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1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환기를 자주 하지 않으면 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멀미의 증상이 심해지게 될 수 있습니다. 자주 환기를 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신선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차 앞이 보이게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됩니다. 멀미는 앞을 보게 되면 멀미가 생길 확률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앞을 보게 되면 방향과 흔들림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 것과 흔들림 사이의 차이가 줄어들면서 멀미의 발생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아이에게 앞을 볼 수 있게 카시트의 좌석을 높여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멀미약을 사용해보세요. 멀미약은 아이의 나이에 따라서 다르게 붙여야만 하는데요, 아이의 나이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멀미약이 다르기 때문에 너무 어린 아이라면 전문의의 처방을 미리 받아 멀미약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