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캐시배
캐시배

주식 거래량 막대그래프가 궁금한데요?

주식 거래량을 보면 차트하단에 막대그래프가 참 궁금합니다.

장중에 거래량이 빨간색으로 가다가 갑자기 파란색으로 바뀌는데요

파란색으로 바뀌는 이유는 매수가 우위이다가 매도로 바뀐것을 의미하는것인가요?

그래서 최종결과가 파란색으로 바뀌는 것은 매수보다 매도가 많아졌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 그래프에서 캔들(봉) 색상은 시장의 전통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초가 대비 종가가 높을 경우에는 빨간색(또는 초록색)으로, 시초가 대비 종가가 낮을 경우에는 파란색(또는 검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하루 동안의 가격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방법입니다.

    빨간색(또는 초록색) 캔들은 그 날의 거래에서 가격이 상승했음을 의미하며, 파란색(또는 검은색) 캔들은 가격이 하락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색상을 구분함으로써 투자자들은 그래프를 빠르게 해석하여 시장의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창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른분들이 가격차트랑 거래량 차트랑 헷갈리신것 같은데.

    막대 거래량의 기준은 전봉보다 거래량이 많은가 적은가로 색이 정해집니다.


    사진으로 보시면 이해하시기 편한데

    매수매도와는 관계없이 전 그래프보다 거래량이 많이터지는지 적게터지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첨부한 삼성전자 차트를 보시면 주가 상승과정에도 아래 거래량 파란색이 다소 보이는데

    거래량차트에서 전봉보다 거래가 적게 이루어졌으므로 매수가 더 들어왔어도 파란색으로 뜨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파란색 그래프는 매도가 많았다는 것이며

    빨간색은 매수가 많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그래프의 파란색 막대 그래프가 의미하는 것은 종가가 시초가 대비 낮게 형성되어 장중에 주가흐름이 하락세 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빨간색은 종가가 시초가 대비 높게 형성되어 장중에 주가 흐름이 상승 흐름이었음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막대그래프는 시초가보다 가격이 높게 끝나는 경우에는 붉은색 그래프가 되고 반대로 시초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끝나게 되는 경우에는 막대그래프가 파란색으로 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