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잡지식 아인슈타인
잡지식 아인슈타인23.03.22

가계부실위험지수는 어떤건가요?

경제용어 차근차근 알아가는 경제 초보자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어떤 용어이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계부채 상환능력이나 채무상환능력 등 가계의 부실 위험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즉, 가계가 대출 등을 통해 빌린 돈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일반적으로 국내 금융기관이나 금융감독원 등에서 측정됩니다. 이를 통해 가계의 대출 상환능력 및 부채 상환능력 등을 측정하고, 가계의 부채 위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금융기관은 가계의 대출 심사나 대출 한도 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금융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가 높아지면, 가계의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는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소득 흐름을 포함하여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가계부채의 부실화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가계부실위험 지표를 평가시에는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검증하는 DSR, 자산 측면을 평가하는 DTA을 결합하여 산출하게 되는데,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하게 됩니다.

    가계부실 위험지수값이 만약 100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해당 가구는 '위험가구'로 분류되며, 위험가구는 다시 소득과 자산이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와 자산측면이 위험한 '고 DTA가구', 소득이 위험한 '고 DSR'가구로 구분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