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섹시한낙타96
섹시한낙타96
21.04.15

연금보험에 가입후 추가납입을 하면 이점은 뭔가요?

연금보험에 가입했는데 추가납입을 하는게 좋다는 글을 봤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좋은가요? 하게 된다면 가입후 언제부터 하는게 좋은가요?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금보험 가입 후 추가납입은 아무때나 가능합니다.

    좋은점은 납입금액이 늘어나는 만큼 추후 연금 수령금액이 늘어나는 거죠.

    연금보험 상품이 일반 적금보다는 금리가 높은 편으로 적금에 가입하는것 보다는 이득입니다.

    또 연금보험은 연말정산이 가능한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으로 나누어지고

    연말정산이 가능한 상품은 추후 연금 수령시 소득세 5.5%정도 공제하며

    연말정산이 불가능한 상품은 10년이상 계약을 유지하면 이자에 대하여 비과세처리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8.30

    안녕하세요. 김성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수령 가능한 금액이 더 많아집니다

    보험사 연금저축보험은 일반연금처럼 일정기간 납입 후 약관에 명시되어 있는 시기에 매달 일정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후대비는 물론 매년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기에 많은 분들이 꾸준하게 가입하고 계십니다.

    국민연금은 국민연금보험공단에서 관리 및 가입이 이루어지고 일반 사기업 보험사에서도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데

    똑같이 연금 지급 및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에 국민연금을 가입하고 추가로 가입을 하시는 것입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당장 쓸돈이 아니고 5-10년이상 묻어 둘 자신이 있는 금액은 처음부터 추가납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가입금액에서는 사업비를 10% 떼고 저축한다면 추가납입금액은 없거나 3% 이내의 금액을 떼고 저축합니다.

    초기에 납입금액이 커진 금액에서 복리 이자를 붙이니 원금의 회복기간이 짧아지고 장기적으로 가면 더 이득이 커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