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23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금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항상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이 금성(비너스)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어째서 밤하늘이 흐리면 다른 별들은 잘 안보이는데

이 금성이 잘보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다른별들과 비교해서 밝은 이유는 지구에서 가깝기도 하고 반사가 잘 되는 두꺼운 대기층이 있어 태양 빛을 더 많이 반사시키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잘 보이는 이유는

    금성이 다른 행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와 가깝다는 점과

    금성이 상당한 양의 햇빛을 우주로 반사하는 구름으로 덮여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대기가 이산화탄소 주성분인데 다른행성에 비해 대기가 매우 두꺼워서 태양빛을 76%정도 반사시킨다고 합니다. 거리도 가깝기도 하구요. 이런 이유로 다른 행성보다 밝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이 흐려도 금성이 잘 보이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금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내부 행성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구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밤하늘이 흐려도 금성의 빛이 다른 천체들보다 더욱 강력하게 보입니다.

    둘째, 금성은 고온 다공성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생성되는 빛을 금성의 대기가 반사하여 더욱 밝게 보이게 만듭니다. 이러한 대기의 특성 때문에, 금성은 흐린 밤하늘에서도 매우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밤하늘이 흐려도 금성은 매우 밝게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 표면은 수증기와 황산으로 구성되어 매우 두꺼운 층을 형성합니다. 이 대기가 햇빛의 70프로 이상을 반사하기 때문에 매우 밝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금성이 가장 밝게 보이는 이유는 우선 가장 가깝기도 하고 금성의 반사율이 태양계 행성중 가장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빛을 가장 잘 반사하기 때문에 가장 밝게 보인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