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다자녀정책의 실질적인문제와 대처는 무엇일까요?
다양한정책들이 매년새롭게나옵니다.
그런데 이러한것이 실제생활에는체감이안되는부분이 큰데요
그렇다면 다자녀양육을 위해서 실제로 도움이되려면 어떤 제도를 도입하면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육아휴직을 이용하지 않거나, 사용 후 복귀가 어려운 현실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육아휴직 급여의 증대와 휴직 후 복귀 보장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 출산 후에도 육아휴직을 더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유연성을 높여야 합니다. 또한, 다자녀 가구의 부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간제 근무나 유연근무제와 같은 제도를 확립하여 부모의 일자리와 가정 양립을 지원해야 합니다. 자녀가 많으면 그만큼 교육비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교육비 지원이 중요합니다. 학원비, 대학 등록금 등 다양한 교육비의 부담을 덜어주는 장학금 제도,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다자녀 가구는 보육 시설을 이용할 때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에 대해 공공 보육시설을 확대하고, 보육 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또한, 맞벌이 부모를 위한 돌봄 서비스를 확장하고,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시면은 현실적인 다자녀정책의 대처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시게끔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다자녀 정책의 실질적인 문제는 경제력이 원인이 큰 입니다.
물가상승로 인한 경제적 실태가 다자녀 가정의 많은 부분을 힘들게 하는데요.
이는 다자녀 가정 뿐만 아니라 아이를 키우는 모든 가정에 힘듦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정부에서 크게 다양한 각도로 다양한 제시를 하면서 양육정책에 내놓고 있긴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물가를 오름을 안정화 시키고, 아이의 돌봄양육, 부모의 육아휴직 등의 이러한 부분도 다시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실제 많은 아이를 키우다 보면 비용이 가장 문제로 다가 옵니다
비용도 학원비가 당장 많이 힘이 드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학원을 안 다닐 수도 없고 참
힘이 듭니다
이런 사교육비가 부모님들의 노후 준비에 부담을 주어 노인 빈곤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사교육비와 대학교 학비가 없어 아이들 양육비만 부담 하다 보니 부모님들의
노후 준비가 아주 잘 되어 있고 풍요로운 노후를 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학원을 다니지 않는 다고 합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