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음운동회'에 대해 궁금합니다.
새마을운동이 활발했던 과거에 박근혜가 총재였던 시기, 새마음운동회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이 새마음 운동회는 어떠한 것이었고, 참가율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음운동은 시대에 적응하는 새로운 가치윤리의 정립을 위한 정신수양 운동입니다.
1977년 여성단체인 '구국여성봉사단'이 주동이 되어 시작한 이 운동은 국민의 정신적 체질개선을 위한 계몽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짧은 기간내의 급속한 경제성장이 몰고온 부(富)의 편재, 도시와 농촌의 격차 확대, 급변하는 정세에 따른 새로운 가치윤리의 결여 등에 의한 정신적 황폐를 개선하기 위한 정신운동은 어떠한 형태로든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습니다.
출처: 위키백과 새마음운동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음운동은 시대에 적응하는 새로운
가치윤리의 정립을 위한 정신수양 운동이다. 1977년 여성단체인 '구국여성봉사단'이
주동이 되어 시작한 이 운동은 국민의 정신적 체질개선을 위한 계몽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출처:위키백과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어머니가 1974년 세상을 떠난 뒤 박 대통령은 청와대 퍼스트레이디가 됐다고 합니다. 그해 9월16일 일기에 젊은 박근혜는 “책임, 너무나도 무거운 책임”이라고 적었다고 합니다. “지금 나의 가장 큰 의무는 국민으로 하여금 아버지는 외롭지 않으시다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이다”(1974년 11월10일)라고 일기에 쓴 그는 아버지의 새마을운동에 보조를 맞춘 ‘새마음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했다고 합니다. 만 24살인 1977년 3월부터 시작했고 전국에 ‘곳곳마다 새마을 사람마다 새마음’ ‘새마음이 가는 길에 사회정화 이어진다’와 같은 표어가 나붙었다고 합니다..그는 새마음운동이 “물질적인 발전과 정신 개발이 병행되도록 하려는 정신혁명운동”이라고 주한미군방송 (1977년 5월30일)에 출연해 정의했다고 합니다. 국자적인 지원을 받으니 당연히 지지율과 참여도는 높았지만 새마을운동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어느 역사학자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새마을운동의 동력이 이전보다 떨어지면서 정신 혁명, 정신 개조 쪽으로 정권 차원의 강조점이 옮겨간 것 같다고 평을 하기도 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