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5

정혜공주는 어느시대에 있던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혜공주라는 인물은 어느시대 어느나라에 있던 사람인가요?

그리고 정혜공주의 일대기는 어떠했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6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혜공주는 737문무1~777 문왕41 발해시대 왕족입니다.

    생몰년에 대해 서적에는 전혀 찾아볼수 없으나 1949년부터 중국 학자들에 의해 추진된 옛 발해왕국의 유적발굴에서 발해가 건국의 터전을 잡아 건국 초의 본거지로 했던 길림성 돈화현의 육정산고분군 가운데 정혜공주의 고분에서 출토된 묘비문에서 알수있게 되었습니다.

    정혜공주비문에 따르면 문왕의 둘째 딸로 출가하였으나 그 남편은 공주가 죽기 전 사망, 정혜공주는 보력 4년 여름 4월 14일 을미에 죽었습니다.

    나이 40세,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보력 7년 겨울 11월 24일 갑신에 진릉 서원에 배장되었다는 사실만 비분 잔결로써 겨우알수 있으며 공주가 죽었던 보력 4년은 서기 777년인바 40세였으니 서기 737에 출생한 것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발해 문왕의 둘째 딸입니다 문헌에는 기록이 없다고 합니다

    정혜 공주 무덤은 1949년 중국 길림성 돈화시 육정산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정혜 공주는 남편과 어린 아들을 잃고 혼자 살다가 마흔 살에 죽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3대 문왕 대흠무(大欽茂)의 둘째 딸입니다. 생몰년에 대하여 서적에는 전혀 찾아볼 수 없으나 1949년부터 중국학자들에 의하여 추진된 옛 발해왕국의 유적발굴에서 발해가 건국의 터전을 잡아 건국 초의 본거지로 하였던 길림성 돈화현(吉林省敦化縣)의 육정산고분군(六頂山古墳群) 가운데 이 정혜공주의 고분에서 출토된 묘비문에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정혜공주비문에 따르면 문왕의 둘째 딸로서 출가하였으나 그 남편은 공주가 죽기 전에 죽었으며, 정혜공주는 ‘보력(寶曆) 4년 여름 4월 14일 을미’에 죽었습니다.

    나이 40세였고,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보력 7년 겨울 11월 24일 갑신에 진릉(珍陵) 서원(西原)에 배장(陪葬)되었다는 사실만이 비문 잔결(殘缺)로써 겨우 알 수 있을 뿐입니다. 공주가 죽었던 보력 4년은 서기 777년인바, 40세였으니 서기 737년에 출생한 것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 :

    아효부인(혁거세왕의 딸, 탈해왕의 왕비)

    내례부인(지마왕의 딸, 아달라왕의 왕비)

    아이혜부인(내해왕의 딸, 조분왕의 왕비)

    명원부인(조분왕의딸)

    광명부인(조분왕의딸, 미추왕의 왕비)

    아로부인(실성왕의 딸, 눌지왕의 왕비)

    조생부인(눌지왕의딸, 지증왕의 어머니)

    보도부인(소지왕의 딸, 법흥왕의 왕비)

    지소태후(법흥왕의 딸, 진흥왕의 어머니)

    삼엽궁주,남모공주, 사실공주(법흥왕의 딸)

    난성궁주, 아양공주, 반야공주, 난야공주(진흥왕의딸)

    숙명궁주(지소태후의 사녀, 진지왕의 어머니),

    만호부인(지소태후의 사녀. 진평왕의 어머니)

    천명공주(진평왕의 딸, 무열왕의 어머니)

    덕만공주(선덕여왕. 진평왕의 딸)

    우야공주(진평왕의 딸)

    고타소,지소,요석공주(무열왕의 딸)

    사소부인(성덕왕의 딸, 혜공왕의 어머니),

    대룡공주,소룡공주(원성왕의 딸들)

    장화공주(소성왕의 딸, 흥덕왕의 왕비)

    영화공주(헌안왕의 딸, 경문왕의 왕비),

    만공주(경문왕의 딸, 진성여왕),

    의성공주(헌강왕의 딸, 신덕왕의 왕비)

    백제

    신제도원(17대 아신왕의딸)

    수백향(무령왕의 딸, 일본 계체왕의 왕비, 긴메이왕의 어머니),

    보과부인 부여씨(동성왕의 딸, 법흥왕의 후궁)

    소비 부여씨(성왕의 딸, 진흥왕의 후궁)

    고구려

    평강공주(평원왕의 딸)

    신라의 경우는 골품제도의 특성상 공주들이 왕족내의 근친혼을 통해 그 남편, 혹은 아들로 왕위가 계승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공주의 이름을 찾을 수 있씁니다만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 모계계통을 중시하던 신라와는 달리 왕후를 배출하던 가문이 따로 정해져 있어 공주에 대한 기록이 거의 전무합니다.

    고려

    태조 - 낙랑공주(신라경순왕비), 흥방공주, 대목왕후황보씨(광종비), 문혜왕후, 선의왕후,

    문혜왕후, 순안왕대비 , 일후공주

    혜종 - 경화궁부인 임씨(광종의 후비),정헌공주, 명혜부인

    광종 - 천추공주, 보화공주, 문덕왕후(성종비)

    성종 - 원정왕후(현종비),원화왕후(현종비)

    현종 - 효정공주, 천수전주,인평왕후(문종비),경숙공주, 효사왕후(덕종비),효경공주, 경성왕후(덕종비), 아지

    덕종 - 상회공주

    정종 - 도애공주

    문종 - 적경궁주, 보녕공주

    선종 - 수안택주, 경화왕후(예종비),

    숙종 - 대녕공주, 흥수공주, 안수공주, 복녕공주

    예종 - 승덕공주, 흥경공주

    인종 - 승경궁주, 덕녕궁주, 창락궁주, 영화궁주

    의종 -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옹주

    명종 - 수안궁주, 연희궁주

    신종 - 효회공주, 겅녕궁주

    희종 - 안혜왕후(고종비), 영창궁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

    강종 - 수녕궁주

    고종 - 수흥궁주

    원종 - 경안궁주, 함녕궁주

    충렬왕 - 정녕원비, 명순원비

    충혜왕 - 장녕옹주

    공양왕 - 숙녕궁주, 정신궁주, 경화궁주

    고려초기에는 왕족간의 근친혼이 많아 이름은 없고 시호만 남은 공주들이 많습니다.

    조선

    태조 - 경신공주, 경선공주, 경순공주, 서녀 숙신옹주, 의녕옹주

    정종 - 함양옹주, 숙신옹주, 상원옹주, 인천옹주, 덕천옹주, 전산옹주, 함안옹주, 고성옹주

    태종 - 정순, 경정, 경안, 정선공주, 숙안,정신,정정,숙정,소신,숙녕,숙경,숙근,소숙,경신,정혜,숙혜, 숙순옹주

    세종 - 정소,정의공주, 정안,정현옹주,

    문종 - 경혜공주, 경숙옹주

    세조 - 의숙공주

    예종 - 현숙공주

    성종 - 신숙공주, 정혜,공신,혜숙,정순,정숙,휘숙,경숙,휘정,경순,숙혜, 경휘옹주

    연산군 - 휘신공주

    중종 - 효혜,의혜,효순,경현,인순공주, 혜순,혜정,정신,정순,효정,숙정옹주

    선조 - 정명공주, 정신,정혜,정숙,정안,정휘,정인,정선,정근,정정,정화옹주

    인조 - 효명옹주

    효종 - 숙신,숙안,숙명,숙휘,숙정,숙경공주,숙녕옹주

    현종 - 명신,명혜,명안공주

    영조 - 화덕, 화순, 화평,화협,화안, 화유, 화녕, 화길옹주

    추존 장조 - 청연, 청선공주, 청근옹주

    정조 - 숙선옹주

    순조 - 명온, 복온, 덕온공주, 영온옹주

    철종 - 영예옹주

    고종 - 덕혜옹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