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23.05.20

정혜공주의 묘비명이 도교와 관련이 있나요?

정효공주묘는 벽화 때문에 도교와 관련이 있다고 알고있는데 정혜공주묘의 묘비명도 도교와 관련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질 않네요. 정혜공주 묘비명의 어떤 부분이 도교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주는 무산에서 영기를 이어받고, 낙수에서 신선에 감응받았다는 부분에서 영기나 신선은 도교에서 쓰이며 곤륜산도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산으로 도교를 반영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0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길림성(吉林省) 돈화현(敦化縣)의 육정산고분군(六頂山古墳群)에 있는 정혜공주의 무덤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정혜공주의 무덤은 1949년 8월에 발견되어 ‘육정산고분군 제2호분(IM2)’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이 고분은 당시 돈화현의 계동중학(啓東中學)과 연변대학(延邊大學) 역사과가 공동으로 정리한 9기의 고분 중 하나입니다. 이 때 정혜공주묘비를 발견하였고 무너져 있었던 천장도 복원시켜 놓았습니다.

    정혜공주무덤은 대형 돌방봉토분〔大型石室封土墳〕으로서 널방〔玄室〕과 널길〔羨道〕 및 묘도(墓道)로 이루어져 있고 널방의 천장은 모줄임〔抹角藻井〕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고구려 후기의 고분양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미 도굴되어버린 이 무덤으로부터는 목관(木棺)의 조각들, 돌사자 2점, 도금된 동제원두정(銅製圓頭釘) 4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묘비는 화강암으로 된 규형(圭形)으로 높이 90㎝, 너비 40㎝, 두께 20㎝ 정도입니다. 정면에는 비문이 해서(楷書) 정자로 음각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당초무늬〔唐草文〕를, 비수(碑首)에는 천선권운문(淺線圈雲文)을 음각하였습니다. 출토시에는 이 비가 7조각으로 파괴되어 있었는데 복원한 결과 모두 725자가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 뒤 1980년정효공주(貞孝公主)의 묘비가 완전하게 보존된 상태로 발견되어 정혜공주묘비에서 판독되지 않은 부분을 완전히 보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문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정혜공주는 대흥보력효감성법대왕(大興寶曆孝感聖法大王)의 제2녀이다. 출가한 뒤 남편이 죽고, 수절하던 정혜공주도 보력 4년(777) 4월 14일 을미에 세상을 떠났다. 이 때 나이 40으로 시호를 정혜공주라 하였다. 보력 7년 11월 24일 갑신에 진릉(珍陵)의 서원(西原)에 배장(陪葬)하였다.’로 요약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