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흔히 코인이랑 인터넷 초창기랑 비슷할거라고 하던데 쓰임새도 인터넷으로 예를 들어주세요?
인터넷 초창기에도 인터넷이 몇십개가 있었는데 초반에 살아남은게 다음,야후,라이코스 등등만 남았듯이
코인도 대부분이 사라지고 소수 몇개만 남을거라고 하던데 코인을 지금 인터넷시스템처럼 예를 들어주세요
(지금은 초반에 나오지도 않던 구글이랑 네이버가 제일 많이쓰이고 있죠)
인터넷이랑 비교한다면 플랫폼코인과 아닌 코인과 토큰을
지금 인터넷 시스템이랑 연관지어서 설명좀 부탁드려요
예를 들면 네이버=이더리움
네이버 안의 지식인 = 이더리움기반의 지식담당토큰(ex. aha 토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천량아 입니다.
현재로써는 비교대상이 인터넷을 전제로 많이하고있습니다.
예를들어서 skt / kt / lg u+ 등 인터넷사업초창기에는 여러가지들이 있었으나 모뎀으로 연결했던 시절이기억나네요.
비교대상으로 해달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이는 질문이 애매모호 하지만 성심껏 대답해보겠습니다.
구글 전세계가 많이쓰고있는 부분이죠
상위시총 코인들이 들어갈것같습니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이오스 / 리플 등이 이곳에 들어가겠네요
우리나라에서 흔히 많이쓰는 네이버도 아마 메이저 코인을 예를 들면 쉬울듯 합니다.
지식인은 aha 처럼 예를 적절히 비유를 잘해주셨네요
금융권은 리플이
Dapp 개발쪽은 이오스나 트론 이더리움 등등 플랫폼 기반인 메이저 코인들이 많을것입니다.
아직은 초창기라서 뭐가 어떻게된다 라는 가정보다는 그 프로젝트 회사들의 기술력과 배경을 바탕으로 판단하는게 가장 적절하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