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모아서 삼켜도 목마른 이유는?
목마를 때 마실 게 없으면 침을 모아서 삼켜본 경험이 있는데 물론 효과는 1도 없다는것도 알고있는데 왜 침을 삼켜도 갈증이 해소가 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공손한진도개143입니다.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침은 침샘으로부터 입안에 분비되는 분비액으로 99%이상이 물이라 갈증 해소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갈증이 해소가 된다는 것은 수분 혹은 염분을 섭취해서 우리몸의 체액과 세포의 삼투질 농도를 같게 만들어 주어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침은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보니 체액의 농도차이에 변화를 줄 수 없습니다. 우리 몸 전체의 삼투압은 변화가 없게되므로, 물의 이동이 제한되어 필요한 곳으로 전달이 되지 않고 이 때문에 갈증이 해소되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염분 농도를 변화시키지도 않기 때문에 염분 때문에 발생하는 갈증을 해소 시켜주지도 못하죠.
우리가 물을 마실때 목에 물이 적셔지면 대뇌피질은 물을 마셨으니 갈증이 해소되었다라는 신호를 받고 갈증신호를 더이상 보내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우리가 침을 삼킬때도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그래서 잠시나마 뇌를 속여 갈증이 해소되는 느낌은 들수 있겠으나, 궁극적으로 갈증을 해소시켜주지 않기 때문에 다시 뇌는 갈증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때문에 잠시 후 우리는 다시 갈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고매한사자166입니다.
침을 넘기는 행위 자체로 인해 증가하는 건조함은 실제로 수분의 감소로 인한 것입니다. 침은 목을 윤활시키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침을 넘기면서 목에서 수분이 증발할 수 있으므로, 수분이 감소하면서 더욱 건조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