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02

고려시대의 도병마사가 어떤조직인지?

안녕하세요? 고려시대초기에 도병마사라는 별도 조직이 있었다고 알고 있는데요 이 도병마사는 어떠한 임무를 맡는 조직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국방회의기구가 도병마사라고 합니다.

    고려 문종 때 확립된 국방 기관이었으나 점차 최고 의결 기관으로 성격이 변모하였습니다.

    3성의 고관들과 중추원의 고관들로 구성된 합좌 기구로, 몽고 침입 이후에는 도평의사사로 고쳐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병마사는 국가의 군기(軍機) 및 국방상 중요한 군사 문제를 논의하던 합의 기구입니다. 즉 양계의 장졸(將卒)에 대한 상벌, 군사훈련, 국경문제 등 국방·군사관계의 일을 관장하습니다.

    그러나 고위 관료인 재신과 추신이 모여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는 귀족 합의 기구로 발전했으며, 1279년(충렬왕 5)에는원(元)나라의 압력으로 관제가 개편됨에 따라 도병마사도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로 개편되어 국사를 합의 ·시행하는 최고 정무기관으로 상설되어 조선 개국 초까지 유지하다 1400년(정종 2) 의정부(議政府)로 개편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병마사는 고려시대 국방회의기구로 국가의 군기 및 국방상 중요한 일을 의정하던 합의기관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도병마사는 고려 시대 고위 관직을 가졌던 핵심 관료들이 국방 등에 대한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던 임시 회의체였으며, 상설 기구여서 뭔가 조직의 장이 존재하는 기관이 아닌 임시기관이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도당' 이라고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문종 때 확립된 국방 기관이었으나 점차 최고 의결 가관으로 성격이 변모하였습니다. 3성의 고관들과 중추원의 고관들로 구성된 합좌기구로 몽골 침입 이후에는 도평의사사로 고쳐 부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병마사는 고려시대의 국방회의기구로 국가의 군기 및 국방상 중요한 일을 의정하던 합의기관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초에는 국방상 중요한 일을 논의하던 합의 기구였습니다. 중서 문하성의 2품 이상 관리인 재신과 중추원의 2품 이상 관리인 추밀들로 구성된 귀족 회의 기구로 왕권을 견제하는 기능 까지 하였습니다.

    몽고와의 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국방상 문제뿐만 아니라 행정상의 모든 문제까지 총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답볍드리면

    고려 시대의 회의 기구로서 고려 초에는 국방상 중요한 일을 논의하던 합의 기구였습시다. 중서 문하성의 2품 이상 관리인 재신과 중추원의 2품 이상 관리인 추밀들로 구성된 귀족 회의 기구로 왕권을 견제하는 기능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