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비가오고난 후 하늘에서 가끔씩 무지개가 보입니다.
또한 여름에 스프링 쿨러가 돌아가는 운동장에서도 보이던데요
이 무지개가 생가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 무지개는 빛의 산란에 의해 생깁니다 - 수증기가 많은 비가 온 뒤에 빛이 산란 하여 무지개가 생기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과학전문가입니다. - 무지개는 공기 속에 있는 물방울과 햇빛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현상입니다. 공기 속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것인데요. - 이때 빛의 분산되는 각도에 따라 우리눈에는 색이 달리 보이는 겁니다. - 많이 꺾이면 보라색 조금 꺾이면 빨간색 으로 보입니다. - 프리즘을 참고하면 될것 같습니다. - 그럼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 태양빛을 프리즘으로 통과해보신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 비가 오거나 스프링클러를 통해 물이 공기중에 뿌려지는 경우 공기중의 물방울은 프리즘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즉 공기중의 물방울에 빛이 통과하며 서로 다른 굴절률로 꺽이며 보이는 색상이 바로 무지개입니다. 
-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 - 비가 내리거나 스프링 쿨러가 돌아가게 되면 공기 중에는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게 됩니다. -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고, -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