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라울곤잘
라울곤잘24.04.12

동사강목은 누가 어떻게 저술한 역사서 인가요?

동사강목은 역사서로 알고 있는데요.

동사강목은 누가 어떻게 어떠한 이유 때문에 저술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사강목을 저술한 사람이 누구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조선 후기의 문신 · 실학자, 안정복이 단군 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사강목은 조선선시대 안정복이 1778년 저술한 역사서로 편년체와 강목체로 역사를 저술하였습니다.

    동사강목은 고조선부터 고려시대에 역사를 다루며 전체 20권으로 구성되고, 각권은 상하권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18세기 실학자 순암 안정복이 저술한 역사서로 기존의 정사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통감 등에 대해 안정복은 잡스러운 책이라고 생각해 불만이 많았고, 1756년 직접 역사서를 만들고자 생각하게 되어 집필했다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저자 안정복은 그의 나이 45세 되던 해인 영조(英祖) 32년(1756년)에 《동사강목》의 저술을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본서의 저술은 안정복의 스승이기도 한 성호 이익의 역사에 대한 관심에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동사강목》을 집필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전체 초고가 완성되는 영조 36년(1760년)까지 4년에 걸쳐 한국사의 주요 사건과 인물에 대한 평가 문제, 역대 강역과 지명의 고증 등에 대해 의심나는 점에 대하여 안정복은 일일이 스승 이익에게 편지로 질문하였고 이때 이익의 답변은 《동사강목》서술에 대부분 반영되었다고 합니다. 이익의 문인인 소남 윤장(윤동규)과 이익의 조카 이정산(이병휴)에게도 영조 32년(1756년)과 35년(1759년), 32년(1756년)과 34년(1758년)에 각각 편지를 보내어 자문을 구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18세기에 실학자 순암 안정복이 저술한 역사서입니다. 편년체, 강목체로 역사를서술하였다습니다.


    기존의 정사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통감 등에 대해 안정복은 잡스러운 책이라고 생각해 불만이 많았고, 1756년에 직접 역사서를 만들 생각을 된다.된후 스승 이익이 자료 수집과 감수 등 많은 부분에서 큰 도움을 주었으며, 20년에 걸쳐 20권 20책, 본편 17권, 부록 3권의 분량으로 저술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사강목은 조선 후기 18세기에 실학자 순암 안정복이 저술한 역사서, 편년체, 강목체로 역사를 서술한 것입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사건의 인과관계를 중시하여 강에서는 기본사실을 목에서는 그 사실과 관련된 내용을 기존의 여러 역사서에서 모아서 서술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