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연성, 난연성 등등 결국 불이 잘 안붙는거인데요
법이란걸 보면 불연성, 난연성 등등 불이 안붙는 재료를 써야한다 뭐 그런것들이 있잖아요. 결국 불이 잘 안붙는거라는데 불연성과 난연성 등등을 어떻게 구분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이 연소하는 성질을 분류하면 가연성, 이연성, 난연성, 불연성 등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가연성은 불에 잘 탈 수 있거나 타기 쉬운 성질을 말하는 것이고, 불연성은 불에 타지 않는 성질, 그리고 난연성은 가연성과 불연성의 중간으로 연소하기 어려운 재료의 성질을 말합니다.
그런데 난연성은 불연, 준불연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난연성은 다시 난연1등급이 불연이고, 난연2급이 준불연, 그리고 마지막으로 난연3급으로 나뉩니다.
난연3급은 235도의 온도로 6분동안 가열 종료 후 30초 이상 잔류 불꽃이 없고, 가스유해성 시험 중 실험용 쥐가 9분 이상 활동하는 재료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난연재라고 하면 이 난연3급의 재료를 말하죠.
난연2급은 305도의 온도로 10분간 가열 후 30초 이상 잔류 불꽃이 없고, 그 재료의 연소가스 속에 방치된 쥐가 난연3급과 동일하게 9분 이상 활동하는 재료 입니다.
그리고 난연1급은 불에 타지 않는 재료로서 750도의 온도로 20분간 가열 시 자체 열발생이 50도미만 이며, 난연2급의 '준불연재료'와 같이 305℃의 온도로10분간 가열 후 30초 이상 잔류 불꽃이 없는 재료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연성과 난연성은 둘 다 불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성질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불연성은 물질이 불이 붙지 않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물질이 불에 노출되어도 불이 번지지 않고, 물질 자체가 붕괴되거나 손상되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불연성 재료로는 석회석, 석재, 철근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난연성은 물질이 불이 붙더라도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추거나, 불꽃이 번지는 것을 억제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난연성 재료는 불길한 환경에서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난연성 재료로는 알루미늄, 석면, 세라믹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연성은 말그개로 불에 잘타지 않는 성질을 일컫으며, 반면에 난연성은 섬유에 불꽃을 가까이 접근시켰을 때 쉽게 불이 붙지 않고, 또 불꽃을 멀리 하면 즉시 꺼지는 성질입니다. 내연성(fireproofing), 방염성(flameresistant)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해당 단어의 한자어를 알면 쉽습니다.
불연성은 불이 붙지 않는 물질입니다.
난연성은 불이 붙기 어려운, 즉 특정 연소 환경을 만들어주면 불이 붙을 수 있는 물질인 것이죠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연재료란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관련 법령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난연재료란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법령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불연성은 불이 붙어도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 물질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물질이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일 때 적용됩니다. 불연성 물질은 불에 노출되어도 분해되지 않고, 산화 반응이나 열반응 등으로 인해 연소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 돌, 유리 등은 불연성입니다.
반면, 난연성은 불에 노출되어도 불꽃이 번지거나 연소가 확대되지 않는 물질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난연성 물질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불에 노출되면 산화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