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말이 사실상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미국의 경제대공황이 일어난다고 하는 말들이 여기저기서 언론등에서 하는것을 직접적으로ㅠ보기도ㅜ하는데요.
이것이 진짜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언론에서 미국 경제 대공황 가능성을 언급하지만, 실제로 1929년과 같은 “대공황”이 곧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미국 경제는 경기 둔화, 침체 등 위험 요인들이 닜지만, 성장률이 하락하는 정도에 머무를 전망이며, 정부의 적극적 대응 정책, 연준의 금리 조정 등으로 최악의 충격은 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대공항이 일어난다는 언론을 저는 본 적이 없긴 한거 같습니다 미국은 지난분기 역성장을 하긴 했지만 우리나라보다 성장률이 높은 나라입니다 현재 경제 상황으로는 미국보다는 우리나라가 경제 대공황이 올 확률이 더 높은거죠
최근에 우리나라 성장률이 미국보다 높은적은 없거든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언제나 이론상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가능성을 재기하는 근거를 보면 과거 버블이 터졌을 때랑 비슷하다는
것과 지속적으로 코인과 증시로 향하는 자금의 버블로 인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버블이 터질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무냏주신 미국의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관세 문제가 실제 미국의 물가를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기 침체 예상이 나오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기침체는 지금 상황에서는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미국의 국가 경쟁력만 보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하고 있고 달러와 채권을 통한 부채관리도 하는 중이기 때문에 경기침체 신호는 지금 보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경기침체에 들어간다고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이는 관세정책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해서 발생한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대공황이 일어난다고 하는 이유중에 하나는 대공황직전에 10년동안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이 당시 무역적자를 해소하기위해서 보호무역주의와 비관세장벽이 무분별하게 일어났었고 그당시 이러면서 무역규모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면서 이후에는 오히려 물가가 하락하고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자동화로 인한 공급이 늘어나면서 실업률이 대폭증가하고 공급은 많아지는 엄청난 침체가 발생했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근거로 이야기하는것이지만 아직 이런 대공황에 갈 가능성이 높다거나 그런 조짐이 보인다거나 하는 시그널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공항은 역사적으로 매우 이례적인 사건으로 1930년대 금융,정책,사회전반시스템 부재가 겹친 특수한 상황이었습니다.
지금은 연준,정부,IMF 등 정책 대응 수단이 휠씬 체계적이라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다만 성장률 둔화나 마이너스 성장의 경기침체는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