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세뱃돈이 생기게된 역사 혹은 관습은 언제부터 입니까?
새해에 새배를 하고 아무생각없이 주는 돈 받아왔었는데 언제부터 생기게된 관습일까요?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우리나라에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겨운악어99입니다.
정말 알고 싶은 질문중에 하나인데 언제부터 생겨났을까요? 내 지갑좀 살려주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뉴아트입니다.
일단 예전에도 세배하는 문화가 있었지만 지금처럼 돈으로 주기 시작한 건 불과 몇십년 전부터라고 합니다
6.25 종전이 된 후 1960년 대 이후부터 설날에 세배를 하면 용돈을 조금씩 주던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1960년 대 당시에는 그냥 소소하게 군것질 거리 정도 사먹을 수 있는 수준의 용돈을 주었다고 합니다
(당시 시대적인 배경이 힘들었기 때문에 그것도 큰 지출이였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1980년 대 이후 황금만능주의가 사회적으로 팽배해지면서 세뱃돈의 액수가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경제적인 성장도 한몫했습니다
각 나라마다 명절이 존재하고 용돈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와 완전 같다고 볼 순 없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문화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놀라운풍금조166입니다.
20세기 중반 이전에 소년기를 보내신 어르신들은 한때 세뱃돈 대신 세배의 대가로 과일이나 떡 등 음식을 받기도 했습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세배를 하면 높은 확률로 돈을 받게 되었습니다. 1960년대 초반에는 10원정도로 받았지만 점점 물가가 오르면서 1000원, 10000원, 50000원이 생기면서 액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