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주귀여운미냥
아주귀여운미냥23.03.18

빙하가 녹은 물은 담수인가요 염수인가요? (빙하생성관련)

안녕하세요. 빙하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데요, 제 생각엔 바다의 빙하들은 아무래도 바닷물에서 유래했기에 녹게된다면 염수일 것 같은데요, 빙하가 녹은 물은 담수인가요 염수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은 물은 대개 담수입니다. 빙하는 일반적으로 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빙하가 생성되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빙하는 일반적으로 눈과 같은 고체 상태인 물 분자의 집합체입니다. 빙하가 생성되는 과정은 간단하게 말하면, 지표면 온도가 영하 이하가 되어 바닷물이 얼어붙는 것입니다. 바닷물의 성분 중에서는 염분이 얼음보다 농도가 높아 바닷물이 얼어붙는 과정에서는 염분이 거의 배제됩니다. 그러므로 빙하는 대개 담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빙하가 녹을 때, 녹아 나온 물도 대개 담수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녹은 물은 대기나 바다와 접촉하여 다시 염분이 섞이기는 하지만, 빙하가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에서 빙하에 담긴 물은 대부분 담수입니다. 따라서 빙하가 녹은 물은 대개 담수로 남게 됩니다.


  • 빙하가 녹은 물은 대부분 담수입니다. 빙하는 담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담수가 녹아서 생성되는 물은 염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대체로 담수입니다. 다만, 일부 경우에는 빙하가 바닷물로부터 생성되었을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녹은 물이 염분이 포함된 염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빙하가 녹은 물은 대부분 담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담수라 생각합니다.

    1. 빙하의 생성과정을 보면 순식간에 언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체계적으로 물이 결정을 이루며 얼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물만 얼게되고 그외의 물질은 방해물질로써 얼지않고 선택되지 않았을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물을 천천히 얼리는 과정을 통해 물속 분순물을 거를수도 있습니다.

    2. 두번째, 빙하위에 눈이 내리면서 그 눈이 빙하의 일부가 될수도 있습니다.

    눈에는 염분이 없다할수 있기 때문에 빙하는 담수일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아 생성되는 물은 주로 담수입니다. 이는 빙하가 형성될 때 빙하의 성분으로부터 염분이 거의 배제되기 때문입니다. 빙하는 염분이 거의 없는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녹은 물은 보통 담수입니다. 이런 이유로, 빙하가 녹아서 바다에 떠다니는 물도 대부분 담수입니다. 그러나, 빙하가 녹을 때 현상은 매우 복잡하며, 녹는 물의 양과 빙하의 성분 등에 따라 염분 함유량이 변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다의 얼음인 씨앗 빙하(Calving Glacier)는 주위 바다에서 염분을 흡수하여 녹으면서 염분 함유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소금물이죠.


    소금물은 혼합물이죠.


    혼합물을 분리하면 섞인 물질이 그대로 유지되죠.



    얼음은 물이 얼어서 만들어진것이고 다른 것이 섞여있는 것이 아닙니다. 화학식이 같다



    소금물이 얼면서 물의 상태가 액체에서 고체 변하면서 소금과 얼음으로 분리가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8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은 물은 일반적으로 담수입니다.

    빙하는 담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눈이나 비와 같은 강수량이나 알려진 깊이에서 편층화되어있는 바다와는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빙하가 녹아서 생성되는 물은 지하수처럼 지표면 아래에서 유출되는 담수와 비슷한 성질을 가집니다.

    하지만, 빙하가 녹은 물이 항상 담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빙하가 녹는 지점에 따라서 빙하 안에 포함된 소금이나 다른 물질이 녹아나와서 물이 염분이 포함된 소금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빙하가 녹은 물은 담수에 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빙하나 빙산이 녹아서 생긴 물은 일반적으로 담수입니다. 이는 빙하나 빙산이 형성될 때, 빙하나 빙산 내부에 포함된 물은 염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아서 바다에 흘러들어가는 물은 비교적 순수한 담수입니다.

    그러나, 녹아서 바다에 흘러들어간 물은 일정 부분의 염분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빙하나 빙산이 바다로 떠내려가면서 바다의 염분이 녹아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빙하가 많이 녹으면서 많은 양의 녹아든 물이 바다에 흘러들어가면, 해당 지역 주변의 해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염분 농도를 가진 물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바다의 빙하나 빙산이 녹아서 바다로 흘러들어간 물은 일반적으로 담수이지만, 일부 염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빙하가 녹은 물은 짜지 않은 담수입니다.

    빙하수는 화장품 먹는물로다 많이 활용됩니다.

    각국나라의 활용을 보면 노르웨이는 빙하 발전소를 돌리고 있고, 캐나다에서는 빙하로 맥주를 만들어 먹고 있고

    중동에서는 빙하를 수입해서 식수로 먹고 있습니다

    빙하 안에 있는 균이나 생물들을 연구재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빙하의 밑엔 빙저호 라는 호수가 있고 그곳에서 새로운 생태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연히 담수입니다. 그래서 빙하가 많이 녹으면 바다물 염도가 낮아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물과 나트륨과 미네랄등 여러가지 혼합물이 섞여 있습니다. 이때 매우 낮은 온도가 되면 먼저 물이 얼고 그다음에 다른 혼합물들이 얼기 때문에 빙하는 제일 먼저 어는 순수 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은 물은 대체로 담수입니다. 이는 빙하의 얼음이 형성될 때 물 분자들이 얼음에 포함되는 염분 및 미량 원소들은 얼음 안으로 밀집되어 결정화되어 빠지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빙하가 녹으면 물에서 대부분의 염분이 제거되므로, 녹은 빙하의 물은 상대적으로 순수한 담수가 됩니다.

    하지만, 빙하가 녹아 바다에 진입하면, 빙하의 얼음과 함께 포함된 염분이 바다 물에 섞이면서 염분 농도가 높아지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빙하가 녹은 물이 염분 농도가 높은 염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은 물은 보통 담수입니다. 빙하는 대부분의 경우 얼음과 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염분이 적은 담수입니다. 빙하가 녹을 때 녹는 물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빙하가 내려가면서 지나가는 지역에 따라 해수와 섞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염분이 함유된 염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빙하에서 녹은 물이 담수인지 염수인지 판단하는 것은 해당 빙하가 위치한 지역과 지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