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체 옆으로 나오는 흰색 연기는 뭔가요?
누리호 발사체 보면 옆으로 나오는 드라이아이스 처럼 흰색 연기가 보이는데 뭔가요? 연료탱크와 관련된거ㆍ가요? 왜그러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누리호의 엔진이 작동하려면 연료가 산소와 결합해야 한다. 그런데 누리호는 대기 중에 있는 산소로 연료를 태울 수 없는 구조다. 따라서 연료와 산소를 누리호에 함께 실어야 했다. 이때 산소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영하 183℃의 액체 형태로 산소를 싣게 된다. 이로 인해 누리호 몸체의 외부까지 차가워져 주변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누리호에 달라붙으면서 성에가 낀 것이다. 냉동실에 있던 아이스크림을 꺼내면 겉 포장에 얇은 얼음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다.
발사장 주변의 흰 연기는 누리호가 발사되는 순간 엔진이 뿜어내는 고온의 불꽃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이 불꽃의 온도는 3400℃까지 올라간다. 이 때문에 발사대 등의 장치가 녹아 버릴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사대에 물을 뿌렸고, 이 물이 초고온의 열과 만나 수증기로 변하면서 흰 연기가 생긴 것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로켓 엔진의 노즐 부분이나 외부에서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에 의해 냉각용 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냉각용 물은 엔진의 열을 흡수하여 엔진 부품의 과열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작동을 유지합니다. 이 냉각용 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생성되어 흰색 연기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