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평소궁금했던 내용인데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제가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이에요. 구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가 궁금했었어요~혹시 아시는 전문가님 계심넌 답변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중에 있는 수증기들이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공기중의 수증기 양에 따라서 구름의 크기가 결정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결되어 만들어집니다.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공기가 상승하면서 온도가 떨어지면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변하게 됩니다. 이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증발과 수증기 포화: 해수, 호수, 강 등의 표면 또는 식물의 증발로 인해 대기 중에 수증기가 생성됩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증가하다가 특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수증기 포화 상태에 도달합니다.

      2. 원자, 분자, 먼지 입자: 대기 중에는 물 분자 외에도 먼지, 소금 결정, 황사 등의 미세한 입자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구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응결핵: 수증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수증기 분자가 응결핵이 되는 입자들과 결합합니다. 이 입자들은 먼지, 소금 결정 등이 될 수 있으며, 수증기가 이 입자들에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4. 구름 형성: 응결핵으로부터 형성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대기 중에서 부유하게 됩니다. 이들이 더 많아지고 모이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생성 원리는 지표면에서부터 증발한 수증기들이 아주 작은 물방울로 응결되서 공기 중에 떠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부릅니다. 산 중턱 아래에 생기게 되면 안개라고도 부르는데요.

      자세하게 말씀드리자면 태양으로부터 복사 에너지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표면 근처 공기들이 가열되게 되면서 공기가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은 낮아지게 되고 낮아진 기체들은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렇게 공기가 팽창하면서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슬점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서 수증기들이 응결하고 작고 가벼운 물방울들이 생성되는데 이렇게 물방울들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면 구름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