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05

안시성 전투승리의 주역이 양만춘 장군이 맞나요?

우리역사에서 안시성전투승리는 길이 빛나는 업적인데요. 근데 승리의 주역이 양만춘장군이라는 정확한 역사적 증거자료는 없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요. 안시성 전투승리의 주역이 양만춘 장군이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측 문헌에는 645년 당군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10개의 성을 빼앗고 4만 명 이상을 전사시킨 반면 당군의 전사자는 2,000명에 불과했다며 대전과를 거둔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태종이 안시성에서 퇴각한 지 3일 만에 황급히 요수를 건넌 것이나 철군 후 고구려 침공을 몹시 후회했던 점으로 미루어, 당의 타격은 기록에 보이는 것 이상으로 막대한 것이었으리라 추측된다.

    이 같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자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이 싸움에서 당 태종은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고려 후기의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여당전쟁

    [네이버 지식백과] 안시성전투 [安市城戰鬪]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자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이 싸움에서 당 태종은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고려 후기의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출처 - 지식백과 안시성전투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일반적으로 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군은 양만춘 장군이 맞다고 봅니다. 살수대첩은 을지문적, 안시성 전투는 양만춘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양만춘(楊萬春)은 고구려 말기의 무장으로, 연개소문이 집권할 당시 안시성(安市城)의 성주였다. 안시성은 요동 지방에 위치한 토성(土城)으로 요동성(遼東城), 백암성(白巖城), 건안성(建安城) 등과 더불어 당나라의 평양성 진입을 방어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던 군사 요충지였다. 정확한 위치가 고증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금의 중국 요녕성 해성현 남동쪽에 있는 잉청쯔(英城子) 지역이 옛 안시성터일 것으로 추정된다.

    양만춘의 개인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언제 어디서 태어났고 어떻게 살다가 죽었는지 역사적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양만춘이라는 이름도 직접 거론된 역사서가 드물고, 대부분 '안시성주(安市城主)'로만 표현하고 있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안시성 전투는 고구려 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에 하나였지만 안시성의 성주에 대해서는 역사서에는 어떠한 자료도 없이 그냥 "안시성의 성주"(安市城主)로만 기록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후세에 송준길 의 《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의 < 열하일기>에는 안시성 성주의 이름을 "양만춘"(梁萬春)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10세기가 지난 후인 조선 후기에 이름이 등장하는 이유로 과연 용감하게 안시성을 지켜내었던 안시성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수 있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안시성전투의 성주가 누구냐고 왕이 질문 하는 장면이 있는데 양만춘입니다. 라고 대답하는 부분이 나오는 걸로 뵈서 그렇게 봐도 무방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