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수리무
수리무24.03.27

보통 과거 대과에 합격하면 무슨 벼슬을 받나요?

조선시대는 과거제도를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고 등용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대과에 급제하면 처음에 받는 벼슬은 어떤 것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과에 급제 하면 보통 정6품에 해당 하는 벼슬을 받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감(監=종친부의 벼슬), 좌랑(佐郞), 감찰(監察), 사평(司評), 정언(正言), 검토관(檢討官), 수찬(修撰),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전적(典籍), 기사관(記事官=정九품까지 있음), 교검(校檢), 전악(典樂), 사회(司誨), 별제(別提=종六품까지 있음), 평사(評事), 사과(司果), 장원(掌苑), 사포(司圃), 좌익찬(左翊贊), 우익찬(右翊贊) 등 입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지금의 5급 정도인 현감에 임명합니다.

    드라마에 많이 나오는 사또정도이지요.

    그리고 중앙직으로 와서 이조전랑 등 정승 및

    판서를 보좌하는 일을 하고 그다음은 임금과의

    관계 및 고위관료의 평정에 의해 진급여우가

    결정됩니다. 하지만 대과 급제면 별문제가 없다면

    판서까지는 올라갔을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