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
23.02.16

한국의 문맹률은 얼마나 되나요?

제가 알기로는 한국의 문맹률이 낮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한국의 문맹률은 얼마나 되나요? 그리고 전세계 선진국의 문맹률 평균은 얼마나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날씬한이구아나52
    날씬한이구아나52
    23.02.16

    안녕하세요. 날씬한이구아나52입니다.

    유관 기사내용 공유드립니다.

    우리나라 '실질 문맹률'이 75%라고?

    한편 이번 '심심한 사과' 논란과 함께 우리나라 실질 문맹률이 75%나 된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는데요.

    실질 문맹률은 글자는 알지만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말하죠.

    하지만 실질 문맹률 75%는 20여년 전 수치입니다. 2001년 한국교육개발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만든 문해력 조사 문항을 활용해 조사한 결과였죠.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에 따르면 기본적인 읽기, 쓰기, 셈하기가 어려운 비문해(非文解) 성인(수준 1)은 성인 전체 인구의 4.5%인 약 200만1천여 명으로 추산됐는데요.

    우리나라 성인의 문해 능력은 연령이 높을수록, 월 가구소득이나 학력이 낮을수록, 농산어촌에 거주할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죠.

    일상생활에 필요한 충분한 문해력을 갖춘 성인(수준 4 이상)은 79.8%였습니다. 실질 문맹률은 '수준 2'(기본적인 읽고, 쓰고, 셈하기가 가능하지만 일상생활 활용은 미흡한 수준)까지 포함한다 해도 8.7%에 불과했죠.

  •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2021년 9월 발표한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에 따르면 기본적인 읽기, 쓰기, 셈하기가 어려운 비문해(非文解) 성인(수준 1)은 성인 전체 인구의 4.5%인 약 200만여 명으로 추산돼었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