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19

새의 조상이 공룡이라는 설의 근거는 뭔가요?

공룡을 생각하면 거대하거나 날렵하게 지상에서 사냥하는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그런데 공룡의 후손이 새라는 설이 있던데 그 근거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룡의 여러 가지 종이 있으며 이 종 시조새가 존재합니다. 이 시조새가 훗날 진화를 거듭하여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조류의 형태로 있는 것으로 여러 학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석을 확인했을때 지금 새와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새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조상이라고 사람들이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새가 공룡의 후손이라는 설은 현생 조류인 새들이 공룡의 진화적 후손이라는 학설을 말합니다. 이 학설은 공룡과 새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제기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공룡과 새는 뼈의 구조나 생리학적 특징에서 유사점을 보이며, 공룡의 일부 종은 비행 능력을 갖고 있었습니다. 또한, 공룡의 화석과 현생 조류의 유전자 분석 결과도 이 학설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론에 따르면 콤프소그나투스가 속한 육식 두발로 걷는 공룡에서 시조새와 새가 진화했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시조새는 공룡으로부터 진화했으나 새의 시조는 아니며 새는 공룡에서 따로 진화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는 추정일 뿐입니다.

    공룡은 그리고 대부분 파충류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새는 조류이죠. 날아다니는 익조류같은 공룡이 있어 이렇게 추정하는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는 주장은 수많은 화석 증거와 과학적 분석을 통해 뒷받침됩니다. 형태적 유사성에서는 공룡과 새의 뼈, 깃털, 호흡기, 심장 등의 구조가 유사하며, 발생학적 유사성에서도 배아 발달 단계에서 일치를 보입니다. 또한 유전적 유사성 분석에서도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화석 연속체의 발견은 초기 공룡부터 현대 새까지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과학적 근거들은 공룡이 새의 직접적인 조상임을 명확하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대 생물학 분야에서는 새를 공룡의 하위 분류군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