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명랑한원숭이42
명랑한원숭이4223.04.02

회절을 잘할 수록 속도가 작아지나요?

전자기파가 진공 상태일때 v=진동수 곱하기 람다가 성립해서 v가 일정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실에서는 파장이 클수록 회절을 잘하게 되는건데 속도는 작아지나요..? 회절성과 속도 사이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파의 회절과 속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전자기파가 다른 매질로 들어가게 되면 매질 내에서 전파 속도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기파의 파장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 때, 전자기파가 매질 내에서 굴절되면서 회절되는데, 회절의 정도는 전자기파가 매질 내에서의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파의 속도는 해당 매질의 굴절률과 관련이 있습니다. 매질 내에서의 전파 속도는 진공에서의 전파 속도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굴절률이 높은 매질일수록 전자기파의 속도가 더욱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높은 굴절률을 가진 매질로 들어가면 전자기파의 파장이 짧아지고, 낮은 굴절률을 가진 매질로 들어가면 전자기파의 파장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전자기파의 파장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회절 현상을 이용하여, X선 회절 분석이나 빔포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회절과 속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회절은 파동이 어떻게 퍼지는지를 설명하는 현상이고, 속도는 파동이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쉽게 회절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파동의 속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는 고정되어 있지만, 파장이 짧은 파장의 빛이 물체에 부딪혀 회절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짧아서 더 쉽게 물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퍼지는 방향을 바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절과 속도는 서로 독립적인 개념이며, 회절이 잘 일어날수록 속도가

    network error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파의 속도는 진공에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즉, 파장이 길어지면 주파수가 낮아지고 진동수가 낮아지게 되지만, 속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됩니다.

    회절은 파장과 물체 크기가 비슷한 경우 발생합니다. 회절은 빛이 물체의 가장자리를 지나갈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회절각이 더 크고, 파장이 길수록 회절각이 작아집니다. 이는 파장이 짧을수록 빛의 진행 방향이 물체의 작은 구멍과 같은 작은 장애물들에 더 많이 영향을 받아, 그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회절 현상이 더욱 두드러집니다.

    속도와 회절은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회절은 물체 크기와 파장에 의해 결정되는 현상이며, 빛의 속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회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자면, 회절은 물리학에서 파동이나 진동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매질이 변할 때 파동이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파동의 속도가 작아지거나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절을 잘할 수록 파동의 굴절이나 반사가 잘 일어나게 되므로, 파동의 속도가 작아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파동이 매질에 따라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며, 회절 자체가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기파의 진행 속도는 진동수와 파장의 곱인 속도(v = fλ)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공식은 진공 상태에서 전자기파의 속도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 전자기파의 속도는 고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매질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전자기파가 매질과 상호작용하면서 속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전자기파의 속도는 진동수, 파장 및 매질의 굴절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회절은 파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파장이 작을수록 더 큰 회절각을 나타내며, 이는 빛의 파장이 작을수록 더욱 강한 회절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회절은 빛의 파장과 같이 전자기파의 파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기파의 속도는 고정되어 있으며, 회절은 전자기파의 파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속도와 회절성은 서로 독립적인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