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시중 은행도 종류가 많은데 보니까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이 있더라구요. 각각 금융권마다 다른점이 무엇인가오?
제1금융권은 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은행으로 이들은 예금, 대출, 송금 등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 일반적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안전한 금융기관으로 여겨집니다. 제1금융권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예금은행, 그리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으로 구성됩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법이 아닌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금융기관으로 증권사, 보험사,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각 금융권 별로 자산의 규모면에서 큰차이가 있고 고객의 대상도 차이가 있습니다
신용점수를 기준으로 고신용자 대출은 1금융권이 차지하고 있고 중신용자는 2금융권 저신용자는
제3금융권인 대부나 사채로 내려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받는 일반 시중은행
입니다. 1금융권 은행들은 자본력이나 안정성,
리스크 관리 능력 등을 양호하게 갖추고 있으며
법적 제재도 강화되어 있어 안정성이 떨어질
경우, 대출제한도 적용 됩니다.
2금융권은 은행권의 적용을 받지 않는 캐피탈
저축은행 등이며 법적제재가 상당히 완화되어
있습니다.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은 금융기관의 성격과 역할에 따라 나뉩니다.
제1금융권은 시중은행과 특수은행 등으로, 신용도가 높고 안정적인 기관으로 대출 금리가 낮습니다.
제2금융권은 저축은행, 상호금융, 카드사 등이 포함되며 제1금융권보다 대출 금리는 높지만 예금 금리도 높습니다.
주로 신용도가 낮거나 제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운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제3금융권은 대부업체 등으로 대출 금리가 매우 높아 위험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은 주로 상업은행과 같은 전통적인 은행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예금, 대출, 외환 거래 등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의 엄격한 규제를 받습니다. 고객의 예금을 보호하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에 가입되어 있으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제2금융권은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보험사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제1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고, 대출 기준이 유연한 편입니다. 그러나 규제가 덜 엄격하여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주로 중소기업이나 개인 대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3금융권은 대부업체, P2P 금융 등 비전통적인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대출을 주로 하며, 높은 금리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하여, 신용도가 낮은 고객에게도 대출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높은 리스크와 부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차이는 법적 규제와 금융 서비스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제1금융권은 일반 은행으로, 은행법에 따라 엄격한 규제를 받으며 예금자 보호법으로 예금이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반면, 제2금융권은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으로,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하며, 예금자 보호는 일부 제한적입니다.
두 금융권의 차이점 중 하나는 자본금과 영업 범위입니다. 제1금융권은 자본금이 높고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반면, 제2금융권은 자본금이 낮고 특정 상품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제2금융권은 예금 금리가 높지만 대출 금리도 높을 수 있습니다. 지역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용협동조합이나 새마을금고 같은 기관도 제2금융권에 속합니다.
따라서, 금융기관 선택 시 안정성을 중시하면 제1금융권을, 더 높은 금리와 지역 맞춤형 서비스를 원하면 제2금융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합한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된 차이점은1금융권은 안정성을 바탕으로한 안전한금융상품을 다양하게 제공히고 대출심사가 까다롭고 대출이율이 낮은만큼 예금금리또한 낮고 2금융권은 반대적인 경향이고 업종별로도 은행법의 적용이 아닌 각기 다른법의 적용을 받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은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시중 은행들로 예금과 대출을 주로 취급하며 안정적인 금융기관입니다. 제2금융권은 저축은행, 보험사, 캐피털 회사 등이 포함되고 대출 금리가 제1금융권보다 높지만 예금 금리도 조금 더 높습니다. 제3금융권은 대부업체나 사금융을 말하며 대출 금리가 매우 높고 위험성도 큽니다. 그래서 금융권이 높을수록 안정적이고 금리가 낮은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에서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큰 차이로는 바로 은행법의 적용이 되느냐인데
제1금융권에만 은행법이 적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같은 경우에는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관을 말합니다.
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기관으로
보험사, 증권사, 저축은행 등이 해당합니다.
3금융권은 대부업법 등의 적용을 받는
대부업체 등이라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금융권은 일반적으로 1,2,3금융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금융권 은행들은 동일하게 은행법을 적용하지만 2금융권은 각각 해당 금융회사의 종류별로 적용하는법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1금융권 은행은 예금과 적금, 펀드와 채권과 같은 수익증권, 보험,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취급하며, 공과금 납부, 국채 구입 등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금융권은 요구불 예금을 취급하지 않으며 자금이 공급자로 부터 수요자에게 직접 융통되는 직접 금융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3금융권은 사금융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금융위원회의 인허가 등록을 한 금융기관이 아니라 영업을 위해 등록된 일반 회사들로 금융기관 중 가장 높은 대출이자를 받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제1금융권은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중 자금중개를 담당하는 예금은행을 지칭하는 용어인데요. 특수은행, 일반은행, 지방은행, 외국계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이 있고,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특수은행은 특수은행법에 적용받습니다.)
제2금융권은 그밖의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용어로, 은행이 아닌 다양한 금융기관들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저축은행 역시도 2금융권입니다.)
제3금융권은 제도 금융권이 아닌 사금융권을 지칭하며, 흔히 대부업체나 사채업체 등을 이르는 용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