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23.11.13

바다 수온이 1도가 올라가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현재 바다수온이 올라간다고 이야기를 하잖아요.

여기서 바다수온이 1도가 올라간다면

늘어난 에너지는 지구에 어떤 현상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23.11.16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수온이 올라가게 되면 빙하게 녹게되어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럼 섬지역의 나라들음 침수될 수 있고 태풍의 위력 또한 온도로 인해서 강해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이달 말 기준 우리나라 바다 수온은 남부지방 연안과 연근해를 중심으로 평년 수온과 비교하면 1도 정도 높다.


    고수온 시기에는 사육수 중 용존산소 농도가 낮아져 양식어류가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고수온으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양식어류 체내에 잠복하고 있던 병원체 활성이 증가해 질병이 발생할 수 있고 전염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사육 중인 양식생물의 몸 빛깔이 검게 변하는 등 질병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수산질병관리원 등 전문가 진료를 받고 처방에 따라야 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1.13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더 많이 녹아서 해수면이 3센치 이상 상승하여


    물에 잠기는 대지가 많아 베네치아 같은 곳은 침수 되고.


    태풍의 위력이 지금보다 두 배 이상 강해지며 바닷속 산호들이 30% 정도 죽는다고 합니다. 그러면 산호를 먹는 물고기들도 죽고. 바다 생태계가 크게 교란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수온이 1도 올라간다는 것은 이미 지구의 온도는 그 이상 증가함을 뜻합니다.

    물론 현재에도 폭염등의 영향으로 고 수온 현상이 나타나곤 있습니다.

    여기서 1도 더 올라간다해서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진 않겠지만

    매년 증가하게 된다면 바다 생태계나 양식 생물들의 폐사 등은 당연한 것이고 폭염

    홍수등의 재난 역시 증가하게 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소원이 1도 올라가게 되면 지구의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선 해양생태계의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여러 어종이나 생물들의 서식지가 변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날씨도 변화되게 되는데 바다 수온은 지구 대기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 열전달 과정의 변화가 생길 수 있어서 기상 이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빙이 되어서 해수면 또한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가뭄이 곳곳에서 지속되고, 킬리만자로의 만년빙이 사라집니다. 농부들도 농토와 거주지를 잃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희귀 동식물이 멸종하게 됩니다.

    또한

    1. 지속되는 가뭄

    2. 물 부족 인구 5천만 명

    3. 기후변화로 인한 사망 30만 명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해양 생태계 변화: 바다 수온의 상승은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여러 해양 생물들은 특정 온도 범위에서 최적의 생존 및 번식 조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수온이 상승하면 일부 해조류, 어류, 민물 생물 등이 서식지를 이동하거나 생태적인 변화를 겪을 수 있습니다.

    2. 해빙 감소: 수온 상승은 해양의 얼음 녹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 해빙이 녹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극지방 생태계와 동물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해류 변화: 바다 수온의 변화는 해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인해 해류의 강도, 방향 또는 분포가 변할 수 있으며, 이는 해양 기후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 온도 상승이 지구대기에 주는 영향은 엄청나게 큽니다. 예를 들어 바다 온도가 1도 오를 경우 대기의 습도는 7% 정도 상승합니다. 2018년 미국과 카리브해 지역을 강타했던 허리케인 플로렌스 당시 바다 수온이 평균보다 1.5도 따뜻하면서 이로 인해 대기습도는 10% 이상 증가했고 이로 인해 엄청난 폭우를 퍼부으면서 강력한 피해를 주었습니다.
    또한, 바다 온도가 높아지면 강력한 슈퍼태풍을 만들어냅니다.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슈퍼허리케인은 바닷물 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한 지역인 '해양 핫스팟'에서 발생했는데요. 2017년의 허리케인 하비와 2018년이 허리케인 플로렌스 등은 바로 이 바닷물 온도가 이상적으로 높은 '해양 핫스팟'에서 만들어진 겁니다. 이 두 슈퍼허리케인의 영향으로 135명의 사망자와 최대 190조 원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